국내시각디자이너의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연구-대학졸업자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ccupational Awareness by the Visual Designers in Korea-Focused on college graduated Designer's Level-

  • 김광현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
  • 발행 : 1997.05.01

초록

한국디자인의 실제적 형성과 디자인의 시대적 필요성의 공감은 1960년대부터라고 보겠다. 즉, 한국 산업디자인에 대한 본격적 이해와 형성은 1976년, 한국디자인 포장센터(현 한국산업디자인 진흥원)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고, 1970년대 이후 산업구조가 공업화로 전환됨에 따라 산업디자인 캠페인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산업디자인이 이 땅에 본격적으로 싹트기 시작한지 약 50년 즉, 1947년 이후 지금 국민소득 1만 불을 상회하고 있는 이때, 산업디자인 범주 중에서도 가장 그 효용 도와 활용 성이 크다는 시각디자인의 발전을 위해 시각디자이너들의 현재의 직업의식과 세계관을 조사하여 보았다. 그들이 현재의 여러 환경변화를 원하고 디자이너로서의 직업의식이 희박함을 이해하게 되어 한국 시각디자인 발전의 문제점을 풀어나가도록 일깨워 준다.

The formation of design in Korea and the consensus on it's necessity began in 1960's. Industrial design started to be realistically recognized and form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Industrial & Packaging Design Center. Later on, the industrialization in 1970s has contributed to industrial design campaigns. Now industrial design in Korea shows almost 50-year-long history respectively, and the nation's GNP soars over $ 10, 000.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motion of effective advances in graphic design, which is said to be most essential in the industry. For this, graphic designer's view on their occupation and the world with their anticipation towards further development of graphic design has been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