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정의 인디안 B.I.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an Brand Identity System Design

  • 김택훈 (동아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미술학과)
  • 발행 : 1997.05.01

초록

90년대 들어서 국내 패션시장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향상,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해외 라이센스 브랜드 도입의 증가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의 신규참여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오랜 전통과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선발 패션업체로서 주식회사 세정의 인디안 브랜드는 90년대 현 상황에서 타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 하고 미래의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정립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주)세정의 인디안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경영환경의 입체적 마아케팅 조사를 실시, B.I. 컨셉을 설정한 후 시각적 이미지 표현작업에 착수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해 Logo mark를 결정한 후 인디안 B.I의 주요 디자인 항목인 기본 요소와 응용요소를 전개, 전체 디자인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 통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보완되어져야 할 요소로는 디자인 조형상의 원칙준수와 철저한 관리, 브랜드 관련 전체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의 일치, B.I의식 실천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등이 요구된다.

In 1990s with the increasing of consumers' standard of life and change of life style,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import from overseas license brands and a new participation of big enterprises, as well a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local fashion market. As a leading fashion company with a long tradition and technique, the INDIAN brand of Sejung Inc. needs to establish a new image to preoccupy relative superiorty in the competition with other brands and satisfy future consumers in the present situation of 1990s. Therefore, for developing of its image, we made an investigation of three-dimentional marketing about business environment, and after setting up the B.I concept, we initiated to express a visual image. Through a made-up ques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ose works, we decided our logo mark and completed the entire design system, including the basic and applied elements of main design items of INDIAN B.I Finally,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brand identity, it is necessary for us to keep the principles in making the shape of design, to take care of them thoroughly, to make all the members' thinking and behavior unite concerned with the brand, and to execute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ractice of B.I. conciousness with the public relations when B.I. will be appeared on the mark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