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소나무림(林)과 신갈나무림(林)의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 분석(分析)과 천이(遷移)에 관(關)한 연구(硏究)

  • Received : 1997.03.13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One hundred Sixty two quadrats were sampled from natural forests, in Kangwon-do and Kyungsangbuk-do. On the basis of Mueller-Dombois & Ellenberg method, field survey, which accounts for the characters of the species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carried out between 1991 and 1994. To analyze the data, CCA ordination and D.B.H, analysis were used. 1. DBH analysis showed that Pinus densiflora community is likely replacing Quercus mongolica or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DBH analysis also showed that Quercus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community balances among the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and Tilia amurensid in the canopy, and that Quercus mongolica-Abies nephrolepis community, mixed forest balances among the Quercus mongol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nephrolepis in the canopy. In general, Quercus mongolica seems to remain as a dominant species. 2. A certain correlation seems to exist between nutrients types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prefered to grow in the medium elevation area that has medium level of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and C.E.C.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were found in the low elevation area that has low level of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and C.E.C. 3. There seemed to be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nutrients types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as distributed in the slope area that has medium level of $Mg^{{+}{+}}$, $Ca^{{+}{+}}$, and C.E.C., while Abies nephrolepis, Taxus cuspidata and Pinus koraiensis in the high elevation and ridge area that has low level of $Mg^{{+}{+}}$, $Ca^{{+}{+}}$, and C.E.C. Carpinus laxiflora and Abies holophylla were found in the medium elevation area that has medium level of $Mg^{{+}{+}}$, $Ca^{{+}{+}}$, and C.E.C., while Kalopanax pious, Carpinus cordata and Acer truncatum in the moderately moist and valley area that has high level of $Mg^{{+}{+}}$, $Ca^{{+}{+}}$, and C.E.C. Pinus densiflora and Fraxinus rhynchophylla seemed to prefer the slightly dry, low elevation and ridge area.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군락과 신갈나무 군락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1994년 사이에 Mueller-Dombois & Ellenberg의 방법에 의하여 16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으며, CCA ordination과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 분석에서 소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군락 또는 굴참나무 군락으로 천이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갈나무 군락은 전체적으로 신갈나무 우정림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교목층에 공존하는 삼림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며,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은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잣나무와 분비나무 등이 교목층에 혼재되어 균형을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2.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나무 군락에서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보통이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보통인 곳에 분포하며,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 등이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사면부에 분포하고, 분비나무, 주목, 잣나무 등이 해발고가 높고 $Mg^{{+}{+}}$, $Ca^{{+}{+}}$, C.E.C 등이 적은 능선부에 분포하며, 서어나무, 젓나무 등이 해발고가 중간이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분포하고 이엇다. 또한 음나무, 까치박달나무, 만주고로쇠 등이 습하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에는 분포하고,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건조하고 해발고가 낮은 능선부에는 분포하고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