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idu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제주해협의 해수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ang Hyun (College of Ocean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RHO Hong Kil (College of Ocean Sciences Department of Fishery, Cheju National University)
  • 김상현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 노홍길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어업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The general flow patterns in the Cheju Strait have been investicated by analyzing the current observations measured in $1986\~1989$ by current meter mooring in 3 north-south sections in the Cheju Strait and at 4 observation points around Cheju Harbour, and measured in $1981\~1987$ by drogue tracking. 1. In the Cheju Strait, there are eastward or northeastward residual currents, which implies that sea waters flow into through the whole western section and flow out through the whole eastern section in the Cheju Strait. The velocity of residual currents are $5.2\~30\;cm/sec$ in 10 m layer and $1.3\~24cm/sec$ in mid-bottom layer. Generally, the flow is strong along the deepest through and the northern part, and weak in the shallow areas near Chuja Islands and Bogil Island. 2. In the western entrance of the Cheju Strait, the observed mean residual velocity is 6.93 cm/sec and the volume transport is 0.384 Sv. There are a big discrepancy between the observed residual currents and the geostrophic currents. 3. Near the frontal areas northwest to Chuja Islands, warm and saline offshore waters, flow northward about 5 miles into the south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in flood, and flow back rather eastward or southeastward than southward in ebb. So, warm and saline waters flow along coastal areas, being mixed with coastal waters. As a result, the northwestern area of Chuja Islands plays a role of the entrance of influx of warm and saline offshore water to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It should be stressed that this flow pattern is not due to the residual flows, but to the temporal (tidal) flows.

제주해협내에 설정한 3개의 남북 단면상에 배열한 13개의 관측정점과 기타 4개의 제주항 부근의 연안정점에서 $1986\~1989$년까지 실시한 해류계에 의한 해류조사결과와 $1981\~1987$년 사이에 실시된 해류판 추적조사, 일반해양관측 등에 의하여 얻어진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제주해협의 유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해협내에는 주로 동$\~$북동류의 항류가 있어, 해협 서쪽 입구의 전단면을 통하여 해협내로 유입된 해수가 동쪽 입구의 전단면을 통하여 유출되고 있으며, 이 항류의 유속은 10m층에서 $5.2cm/sec\~30cm/sec$이고, 중${\cdot}$저층은 $1.3\~24cm/sec$로 대체로 해협의 심소 및 제주도 북측에 강류대가 있고, 추자도 및 보길도 부근의 연안 천소에 악한 항류가 있다. 2. 제주해협 서쪽 입구의 전단면에서 실측한 항류의 하계 평균유속은 6.93cm/sec로, 이것을 기초로 계산한 이 단면의 해수수송량은 $0.384\times10^6\;m^3/sec(Sv)$이며, 단면의 항류분포와 지형류 유속 분포간에는 많은 차를 보였다. 3. 추자도 북서쪽의 전선역에서는 밀물 때는 북향류에 의해 고온${\cdot}$고염분의 외해수가 5mile정도 연안역으로 이동 하지만, 썰물 때는 북상 거리만큼 다시 남하하지 않고 동$\~$남동향류 때문에, 연안수와 혼합하면서 전선북쪽의 연안역으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추자도 북서해역은 제주도 서방해역으로 부터 북상해온 외해수가 한국남해연안수내로 유입하는 창구가 되며, 이것을 일으키는 주된 작용은 항류가 아닌 조류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