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Extraction Conditions on Bile acids Binding Capacity in vitro of Alginate Extracted from Sea Tangle (Laminaria spp.)

다시마 alginate와 bile acids의 결합능에 미치는 추출조건의 영향

  • YOU Byeong-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IM Yeong-S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In-Hak (Department of Fishery Resources Development,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 유병진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 임영선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 정인학 (강릉대학교 수산자원개발학과) ;
  • 이강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7.01.01

Abstract

Changes in bile acid binding rapacity in vitro and physical properties of alginate extracted from sea tangle (Laminaria spp.) and residue after extracting alginate (RAEA) were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extraction conditions controlled under 1, 3 and $5\%$ of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1, 3, 5 and 10 hours of extraction time at $60^{\circ}C$. The less sea tangle had particle size and the higher concentration of sodium carbonate solution increseded, the more yield of alginate gained. High concentration of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long extraction time resulted in weakly binding capacity in vitro by alginate. Among four bile acids, binding capacites with alginate were in the order of cholic, taurocholic acid>glycocholic acid>deoxycholic acid. The binding capacity of RAEA was rated at almost same degree of alginate. For increasing the binding capacity of bile acids by alginate, it was subject to high viscosity and degree of polymerization.

추출조건에 따른 다시마 alginate의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용매인 $Na_{2}CO_{3}$의 농도를 1, 3, 및 $5\%$로 각각 조절하고 추출시간을 각각 1, 3, 5 및 10시간으로 하였을때 각 추출조건에서 추출된 alginate의 bile acids 결합능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다시마를 미세하게 마쇄할수록, $Na_{2}CO_{3}$ 농도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alginate 추출량은 증가하였다. alginate의 bile acids와의 결합능은 저 농도의 $Na_{2}CO_{3}$ 용액으로 단시간에 추출한 것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alginate에 의한 bile acids 결합능은 cholic aci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aurocholic acid, glycocholic acid, deoxycholic acid 순으로 조사되었다. 다시마로 부터 alginate를 추출하고 남은 잔사(RAEA)의 bile acids와의 결합능은 alginate의 경우와 같이 추출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ile acids와의 결합능은 cholic acid, taurocholic acid의 경우 alginate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냈고, glycocholic acid의 경우 alginate와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deoxycholic acid와의 결합능은 추출된 alginate보다도 오히려 높은 값을 보였다. 추출된 alginate의 점도와 중합도는 추출용액의 농도가 증가하고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에 비례하여 bile acid와의 결합능도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