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tidal Zonation of the Cumacean Bodotria biplicata in th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돌산도 쇄파대에 사는 쿠마류 Bodotria biplicata의 조하대 대상분포

  • SUH Hae-Lip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OO Young Kyu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7.01.01

Abstract

Subtidal zonation of a cumacean Bodotria biplicata was investigated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Three replicate samples were taken with a sledge net at three sites, such as the surface and bottom of 1 m depth and waters edge, at hourly intervals over the neap and spring tide cycles on January 1993 (n=225). B. biplicata, the most dominant cumacean in this area, exhibited peak density at the bottom while about $0.6\%$ of total catch was collected at the surface. Mean density during the neap tide cycl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during the spring tide cycle. The depth of subtidal zone influenced the total catch of B. biplicata. The changes in density were related to the depth of subtidal zone rather than day-night cycle or ebb-flood tid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el vertical migration is not distinct. During both neap and spring tide cycles, B. biplicata attained a density maximum at the same level of about 90 cm below lower low water (LLW). It is likely, therefore, that this species performs shore- and seaward horizontal migration fortnightly. The speed and distance of migration may be directly related to the beach slope and tide range. Ontogenetic differences in subtidal distribution were observed. Juveniles and manca larvae tended to occur lower areas than the adults. Such differences may reduce intraspecific competition for diets.

쿠마류 Bodotria biplicata의 조하대 대상분포를 돌산도 모래해안의 쇄파대에서 조사했다.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수심 1m의 표층과 저층, 그리고 바닷가에서 쿠마류를 1조석주기 동안 한 시간마다 썰매 네트로 3회 반복 채집했다(시료수=225개). 조하대에서 가장 우점한 B. biplicata는 저층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고 표층에서는 전체 생물량의 약 $0.6\%$가 채집되었다. 소조때 평균 밀도는 대조때보다 조금 높았다. 채집 생물량은 조하대 수심의 영향을 받았다. 밀도 변화는 주야주기나 밀물-썰물보다 조하대 수심과 더 관련이 있었다. 조사기간에 주야 수직 이동은 뚜렷하지 않았다. 소조와 대조때 모두 B. biplicata 개체군은 낮은 저조 (LLW) 아래 약 90cm 되는 곳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이 종은 2주 주기로 해안쪽과 바다쪽으로 수평이동하는 듯하다. B. biplicata가 조하대 모래바닥을 이동하는 속도와 거리는 모래해안의 기울기와 조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개체발생 단계별로 분포양상이 달랐고 미성체와 만카유생이 성체보다 깊은 곳에 분포했다. 이것은 먹이를 둘러싼 종내경쟁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