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days Continuous Observation of Nutrients, Chlorophyll Suspended Solid and Salinity in the Keum Estuary, Korea

금강 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 Lee, Yong-Hyuk (Department of Oceanograph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Yang, Jae-Sam (Department of Oceanograph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7.03.30

Abstract

We have monitored nutrients, chlorophyll, suspended solids, and salinity in the Keum Estuary to understand the temporal fluctuation of oceanographic parameters and to illustrate any variation due to the gate operation of the Keum River Dike from June, 1995 to September, 1996, approximately for 500 days. Tidal range is used as the key factor to explain the fluctuations and atmospheric parameters such as air temperature, wind velocity and rainfall are also used supplementally. The fresh water discharge was selected as another major impact on the estuarine environment due to the gate operation of the Keum Dike. In addition, daily variation by tidal cycle was investigated twice in April and July, 1996. In diurnal variation, salin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idal elevation, where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trients. Relatively high suspended solid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found in the period between high and low tide. In 500 days continuous observations, salin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volume of fresh-water discharge,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trients. A major chlorophyll bloom occurred in spring. A similar pattern of variation was observed between suspended solid and the neap-spring tidal cycle. In comparison with the data of the Keurn Estuary before the gate operation of the Keum River dike, fresh-water discharge predominate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rainy season. In addition, the velocity of tidal current and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 were decreased, while nutrient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increased.

군산 하구역에서 해양학적 환경의 시간적 변화양상을 이해하고 하구언 축조 이후 갑문의 조작에 의한 환경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5년 6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약 500일간 매일 관측을 하였다. 조사대상 항목은 해양환경의 일반적인 조사대상인 영양염, 엽록소, 부유현탁물질 그리고 염분이었으며, 이들 자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조석자료를 이용하였고, 또한 보조자료로서 기온, 강우량, 풍속등 기상 자료와 금강 하구언의 담수 방출량과 같은 하구언의 갑문조작 효과도 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조석 위상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4월에 26시간, 7월에 19시간에 걸쳐 시간별로 연속조사를 병행하였다. 시간별 조사에서 염분의 변화양상은 조위에 비례관계를 보였으며, 부유현탁물질과 엽록소는 창 낙조 사이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영양염류는 염분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500일 연속 관측에서 염분은 당수 방출량과 반비례하며, 엽록소는 봄철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각 영양염류는 변화양상이 유사하였고, 염분과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부유현탁물질은 15일 주기인 조석 주기(neap-spring tide cycle)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기에는 담수 방출량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었다. 금강 하구언의 갑문을 조작하기 이전과 비교해 볼 때 담수의 방출은 우기에 집중되고 있으며, 조류의 감소, 부유물질의 감소, 영양염류와 엽록소의 증가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