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Calcium Levels on Iron and Zine Balance in Young Korean Women

한국 젊은 여성의 단백질 및 칼슘 섭취 수준이 체내 철분 및 아연 평형에 미치는 영향

  • 남기선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경원 (서울여자대학교 영양학과) ;
  • 구재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 최혜미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calcium levels on iron and zinc balance in eight healthy Korean young women. The 20-day metabolic study consisted of a 2-day adaptation period followed by three 6-day experimental periods.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the low protein-low calcium(LProLCa ; protein 44g, Ca 422mg), the high protein-low calcium(HProLCa ; 'protein 85g, Ca 365mg) and the high protein-high calcium (HProHCa ; protein 84g, Ca 727mg). Apparent absorption and balance of iron and zinc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subjects were fed high protein-low calcium diet than low protein-low calcium diet. The elevation of dietary calcium significantly depressed the apparent absorption of iron and zinc. The levels of serum iron and zinc were likely to be increased with a high protein diet,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r=O.99) between the iron intake and serum iron concentration. Serum zinc concentration was not correlated with hair zinc.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dietary protein and calcium influence iron and zinc balance in Koreans. This study suggests that dietary recommendations for trace minerals, such as iron and zinc,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bioavailability of milk or beverage products enriched with calcium and iron.

단백질 및 칼슘 수준이 체내 철분 및 아연의 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건강한 젊은 여성 8명을 대상으로 20일간의 대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는 2일간의 적응 기간 후 저단백저칼슘식이 (44g 단백질, 422mg 칼슘), 고단백저칼슘식이 (85g 단백질, 365mg 칼슘), 고단백고칼슘식이 (84g 단백질, 727mg 칼슘)의 6일씩 각 실험식이를 섭취하였다. 각 식이 기간 후반 3일간의 대변 및 뇨를 수집하고 각 식이 기간이 끝난 후 공복시에 채혈하였다. 각 식이의 열량, 단백질, 칼슘, 철분 및 아연을 분석하고 대변과 뇨의 철분 및 아연을 분석하였으며 혈청중의 철분 및 아연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식이의 단백질 수준이 높아졌을 때 체내 철분과 아연의 흡수 및 평형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P<0.01) 식이의 칼슘 수준이 높아졌을 때 철분(p<0.01) 및 아연(p<0.05)의 흡수 및 평형은 감소되었다. 혈청의 철분이나 아연 농도는 저단백질식이보다 고단백질식이일 때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혈청의 철분 농도는 철분 평형보다는 섭취된 철분의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r=0.99)를 나타냈다. 혈청과 두발의 아연 농도 간에는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식이중의 단백질 및 칼슘 섭취수준은 체내 철분 및 아연의 평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 나라 영양권장량을 책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영양소들의 대사를 재검토해야 하며 또한 최근 칼슘과 함께 철분을 강화시키는 몇몇의 시판 유제품이나 음료의 실제 유용성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