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Starvation on the Variations of Hepatocyte Nucleus in Larvae of Red Spotted Gruper, Epinephelus akaara

기아시 붉바리 자어의 간세포핵 변화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Variations of hepatocyte in the larval liver of grouper, Epinephelus akaara w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tarvation during the first feeding period, 3 to 5 days after hatching. Total length of the fed larvae increased from the 5th day after hatching,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ed and starved larvae was found untill the 4th day after hatching. Survival rate of the starved larvae decreased from the 4th day after hatching, and almost all of the larvae died by the 5th day after hatching. Nuclear size of hepatocyte in the starved larvae starterd to decrease from the 4th day after hatching. The sizes by 4th and 5th days after hatching in the starved larvae were 1.4 to 1.9 times smaller than those in the fed ones. Hepatocytes in the starved larvae showed irregular morphology in which the nuclei were irregularly shrunk and highly compacted from the 4th day, while hepatocyte nuclei in the fed ones maintained their uniform feature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initial larval food should be supplied at least within the 4th day after hatching. Also, it suggested that the size of hepatocyte nucleus might be and indicator of starvation for wild and cultured grouper larvae.

기아시 붉바리 자어의 생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화후 3일부터 5일 동안 자어의 성장 및 간세포핵 크기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자어의 전장 변화는 부화후 4일째까지는 먹이 공급구 및 기아구에 있어 서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후 5일째에는 먹이공급구의 경우 전장이 급격히 증가되었고 기아구의 경우는 계속하여 전장이 감소되었다. 자어의 생존률은 먹이공급구의 경우 부화후 3~5일 동안 비교적 안정되었으나, 기아구의 경우는 부화후 4일째부터 생존률이 급격히 감소되기 시작해 부화후 5일째에는 대부분의 자어가 사망하였다. 붉바리 자어의 간세포핵 크기는 기아구 및 먹이공급구 모두 부화후 3일째까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후 4일째 이후부터는 두 구간 사이의 핵 크기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해, 부화후 4~5일째 간세포핵의 크기는 기아구의 경우가 먹이 공급구 보다 약 1.4~1.9배정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세포핵의 형태적인 변화는 먹이공급구의 겨우 부화후 3~5일 동안 형태적으로 서로 큰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아구의 경우는 부화후 4일째부터 간세포핵의 크기가 축소되고 핵의 분포밀도가 높았으며 형태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부화후 5일째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붉바리 자어의 생존을 위해서는 최소한 부화후 4일 이전에 먹이섭취가 가능하도록 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위의 결과는 앞으로 붉바리 종묘생산시 먹이공급시기 조절의 기초자료 및 자어의 영양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X>$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 칼슘, 철분의 섭취량이 권장량 보다 적었다. 특히 철분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60.1%, 비복용자의 74.1%가 권장량의 2/3 미만을 섭취하였으며, 기타의 비타민.무기질도 권장량의 2/3미만을 섭취하는 대상자가 많았다. 6)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60.8%가 종합비타민을 복용하였으며,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는 복용하는 이유는 힘을 내기 위해서가 39.9%, 주의의 권유에 의해서 28.3%,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 17.4%이다.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비복용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이유는 건강하기 때문이 36.0%로 가장 많았으며, 귀찮아서, 식이로 충분히 섭취하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서의 순이었다.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에 대한 견해는 효과가 있다. 23.3%, 효과가 없다 18.4%이며, 비복용자는 효과가 있다 16.6%, 효과가 없다 14.4%로 나타났다.갈화로부터 분리된 tectorigenin과 kaikasaponin III는 아급성 알코올 중독된 흰쥐 간의 free radical 생성계 효소를 억제시켜 알코올로 인한 간손상을 회복시키고, 알코올 대사 효소계에 관여하여 해독작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알코올 해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가열조리 중 capsaicin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여 대기하의 $100^{\circ}C\;및\;150^{\circ}C$에서 5시간 가열조리 후 잔존율은 각각 84.7%

Keywords

References

  1. 수진사업보고 v.114 붉바리 種苗生産 技術開發試驗 李昌奎;金相根
  2.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tey v.114 Morphomertic indices of nutritional condition and sensitivity of spot larvae Allyn, B. P.;J. C Aleasnader
  3. Z. Zellforsch v.75 Karyometric and cytophtometric study of hepatocyte nuclei of forgs exposed to cold and prolonged starvation Alvarez, M. R.;R. R. Cowden
  4. J .Exp. Zool. v.210 Quantitave ultrastructural studies of hepatocyes from fed and staeved forgs Baic, D;B. G. Ladewski;B. E. Frye
  5. Biology v.35 Morthh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during the growth and starvation of herring and placice larvae Ehrlich, K. F.;J. H. S. Blaxter;R. Permberton
  6. J. Exp. Mar. Biol. Ecol. v.25 Histological criteria for diagnosing the starving condition in early post yolk sac larvae of the northrn anchpvy, Ebgraulis mordax girard O'Connell, C. P
  7. Jap. Sco, Sci. Fiah. v.44 Comparison of erythrocytic size between diploid and tetraploid in spinous loach, Cobitis biwae Sazaki, k;H. Kobayachi
  8. Zool. Anz. v.214 Influence of staevation and refeeding with defferent diets on the hepatocyte ultrastructure of juvenile Siganus guttatus Bloch9Teleostei) Segner, H
  9. Marine Biology v.74 The effect of different diets on the ultrastructure of hepatocytes of chanos chanos fry (Chanidae : Teleostei) and electron microscopic and morphometric analysis Storch, V;W. Stahlin;J. V. Juario
  10. J, Fish Biol. v.23 The effect of starvation and subsequent feeding on the hepatocyes of Chanos chanos (Forsskal)fingerings and fry Stoch, V;J. V. Juario
  11. Nippon Suisan Gakkaichi v.55 PNR, histology and morphology of atarved prjerrey, Odontesthes bonariensis larvae Strussmann, C. A.;F. Takashima
  12. J. Fish Biol. v.36 Hepatocyte nuclear size and nutritional condition of starved pejerrey, Odonteches bonariensis Strussmann, C. A.;F. Takachoma
  13. Fish. Bull. U. S. v.78 Effect of starvation on the hist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ckmackerel, Trachurus symmetricus, larvae Theilacker, G. H.
  14. Suisanzochoku v.32 Histological changes in digestive organs of carp larvae during starvarion. II. Liver and pancreas Wang, Z.;F. Takachima
  15. Bull. Tokushima. Fish. Expl. Stn. v.1987 Experiment of artificial propagation of grouper Watanabe, K.M.Tenshin;S. Araki
  16. 載培技硏 v.19 日本裁培漁業協會玉野社業場における最近のキジハタ種苗生産量の增大と問題點について 福永恭平;野上欣也;吉田儀弘;浜崎活幸;丸山敬悟
  17. 香水試報 v.21 過偏毛藻類 Dinophyceae 2種のキヅハタ Epinephelus akaara (TEMMINCK et SCHLEGEL)仔魚ヘの投餌效果 濱本俊策;吉松定昭
  18. 岡山水試報 v.3 珪藻添加漁水によるキヅハタ種苗生産 量野泰久;味田正
  19. 岡山水試報 v.10 キヅハタの種苗生産 萱夜泰久;水戶鼓
  20. 岡山水試報 v.8 キヅハタの種苗生産 萱野泰久;水戶鼓;杉野博之
  21. 水産增殖 v.30 no.4 小形ツオミズツボワムツお用いたツロギスの種苗生産 塚島康生;吉田範秋;北島力;松村淸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