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lysilicon Etch Residue by XPS and SEM

XPS와 SEM을 이용한 폴리실리콘 표면에 형성된 잔류막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The plasma etching of polysilicon was performed with the HBr/$Cl_2/He-O_2$ gas mixture. The residual layers after photoresist strip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etch residue was identified as silicon oxide deposited on the top of the patterned polysilicon. In order to clarify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etch residue, the effects of various gas mixtures such as $Cl_2/He-O_2$and HBr/$Cl_2$were investigated. We found that the etch residue is well formed in the presence of oxygen, suggesting that the etch residue is caused by the reaction of oxvgen and non-volatile silicon halide compounds. Wet cleaning and dry etch cleaning processes were applied to remove the polysilicon etch residue, which can affec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further device processes. XPS results show that the wet cleaning is suitable for the removal of the etch residue.

HBr/$Cl_2/He-O_2$ 반응 기체를 이용한 반응성 이온 식각후, 폴리실리콘 표면에 형성된 잔류막을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과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ocroscopy,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잔류물은 패턴된 폴 리실리콘의 맨 윗부분에 자존하고 있었으며, 화학 결합 상태는 실리콘 산화물임이 밝혀졌다. 잔류물인 실리콘 산화물의 형성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래의 혼합 기체 성분중 한가 지씩의 반응 기체를 제외시켜 가면서 실험하였다. 비록 플라즈마 성질이 다를지라도, 잔류물 은 산소의 존재하에서 잘 형성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휘발성이 낮은 실리콘-할로겐 화 합물이 산소에 의해 산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반응성 이온 식 각후 형성된 잔류층은 소자의 전기적 특성과 후처리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습식과 건식 후처리 공정을 도입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건식 공정의 경우 기체에 의해 새로운 잔류물이 형성됨을 XPS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따라서 잔 류물을 제거하고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해서는 습식 공정이 더 적합함을 알았다.

Keywords

References

  1. J. Vac. Sci. Technol. v.A8 D. W. Hess
  2. J. Vac. Sci. Technol. v.A9 A. Ermolieff;S. Marthon;F. Bertin;F. Pierre
  3. J. Vac. Sci. Technol. v.A12 F. H. Bell;O. Joubert;G. S. Oegrlein;Y. Zhang;D. Vender
  4. Vacuum v.45 R. Jackson;A. J. Pidduck;M. A. Green
  5. J. Vac. Sci. Technol. v.A12 O. Joubert;G. S. Oehrlein;M. Surenda
  6. J. Electrochem. Soc. v.142 Y. Kuo
  7. J. Vac. Sci. Technol. v.A8 T. D. Bestwick;G. S. Oehrlein
  8. J. Electrochem. Soc. v.136 L. Y. Tsou
  9. Mat. Res. Soc. Symp. Proc. v.448 N. Layadi;V. M. Donnelly;J. T. C. Lee
  10. J. Vac. Sci. Technol. v.A12 C. C. Cheng;K. V. Guinn;V. M. Donnelly;I. P. Herman
  11. J. Vac. Sci. Technol. v.A10 D. X. Ma;T. A. Lin;C. H. Chen
  12. Jpn. J. Appl. Phys. v.35 K. Nishikawa;T. Oomori;K. Ono;M. Tuda
  13.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1st ed. R. C. Weast
  14. J. Electrochem. Soc. v.136 G. S. Oehrlein;S. W. Robey;J. L. Linstrom;K. K. Chan;M. A. Jaso;G. J. Sci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