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Finding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장애 환자의 지능과 신경심리검사 소견

  • Kim, Chan-Hyu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ung-Hoon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
  • Kim, Ji-Wo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ee-Sa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yung-He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Hong-Shick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찬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성훈 (연정 뇌기능수면연구소) ;
  • 김지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희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경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홍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 findings betwee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and normal controls, and to find out brain functions. Methods : To examine the brain functions, Halsted Reitan neuropsychological test,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Wechsler Memory scale and K-WAIS were applied.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2 patients with OCD and 17 normal controls who were matched for age, handedness and education year. Results : The verbal intelligence of OC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nd performance intelligence between groups. The total time of tactual performance test in OCD was significantly delayed than that in normal controls. Also the visual recall of Wechsler memory scale in OCD was more impaired than that in normal control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pport that visual-spatial memory, which is related to basal ganglia, is impaired in OCD.

목적 : 저자들은 강박장애 환자의 대뇌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신경심리검사 바테리를 이용하여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방법 : 강박장애군(12명)과 연령 및 교육을 짝짓기한 정상대조군(17명)에게 신경심리검사 바테리를 시행하였다. 결과 : K-WAIS 검사상 전체지능은 강박장애군 115.2(${\pm}9.9$), 정상대조군 111.8(${\pm}8.4$)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언어성 지능의 경우 강박장애 환자군($118.0{\pm}10.6$)이 정상대조군($110.3{\pm}9.4$)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49), 동작성 지능은 강박장애군($108.4{\pm}11.7$)이 정상대조군($114.4{\pm}11.2$)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양군간의 소검사 항목점수를 비교하면 tactual performance test의 전체시간에서 강박장애군(15.26분)이 정상대조군(9.56분) 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며(P=0.028), 양손 수행에서도 강박장애군(0.16)의 수행이 정상대조군(0.38) 보다 유의하게 떨어졌다(P=0.047). 전체적인 Halsted Reitan 손상지수도 강박장애군($3.17{\pm}2.1$)이 정상대조군($1.31{\pm}1.8$)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9). 웨슬러 기억검사의 시각회상에서도 강박장애군($12.3{\pm}1.6$)이 정상대조군($13.4{\pm}0.9$)에 비해 기능이 유의하게 떨어졌다. 결론 : 강박장애 환자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공간구조 인지기능의 장애, 과잉된 언어 및 집중력을 보이고 있고, 이는 강박장애 환자의 언어기능과 공간구조 인식기능의 불균형이 강박장애 환자의 정신병리와연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강박장애 환자에서 신경 심리 검사상 보이는 이상소견이 강박장애의 특정적인 소견인가, 치료경과에 따라 선경 심리검사상의 이상소견이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