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on, Nitrogen and Phosphorus Absorption by Macrohydrophytes

대형수생식물의 물질생산과 질소와 인의 흡수량

  • 문형태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생물학과) ;
  • 남궁정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생물학과) ;
  • 김정희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In order to obtain necessary data for the use of hydrophytes to improve water quality of artificial lakes, production and nutrients absorption by some macrohydrophytes were investigated in a small water course at Woongcheon, Chungnam Province. The maximum above-ground standing biomass of Phragmites communis, Typha angustifolia and Zizania latifolia stand were 3,504 g/m$x^2$, 2,834 g/m$x^2$ and 3,125 g/m$x^2$, respectively. Estimated below-ground standing biomass of each stand were 9,671 g/m$x^2$,5,158 g/m$x^2$ and 5,813 g/m$x^2$,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each organ was different among plant species. Maximum amount of standing nitrogen was the highest in the reed stand and that of standing phosphorus was the highest in the cattail stand. Amount of maximum standing nutrients are 2795.6 kgN/ha and 42.5 kgP/ha for the reed stand, 1,413 kg N/ha and 24.8 kgP/ha for the cattail stand and 1.901.1 kgN/ha and 38.4 kgP/ha for the wild rice stand, respectively.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it is concluded that reed, cattail and wild rice are suitabl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rtificial lakes through nutrients absorption.

수생식물을 인공호의 수질개선에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수식물인 갈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의 생산량과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은 단위 면적당 지상부 최대생산량이 각각 3,504 g/m$x^2$, 2,834 g/m$x^2$, 3,125g/m$x^2$이었다. 이들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지하부 현존량은 갈대, 애기부들, 줄이 각각 9,671g/m$x^2$, 5,158 g/m$x^2$,5,813g/m$x^2$이었다. 갈대, 애기부들 그리고 줄 각기관의 영양염류 함량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물의 최대생물량과 지상부 각 기관의 영양염류함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지상부 영양염류 최대현존량은 갈대군락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와 지하부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염류 최대현존량은 갈대군집에서 2,795.6 kg N/ha, 42.5 kg P/ha, 애기부들군집 에서 1,413 kg N/ha, 24.8 kg.P/ha, 줄군집에서 1,901.1 kg N/ha, 38.4 kg P/ha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갈대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은 물질생산과 영양염류 흡수량에서 담수의 수질개선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과학재단 학연산연구교류 제 198회 대형수생생물을 이용한 수질개선 기법의 현황과 전망 공동수
  2. 환경농학회지 v.7 축산폐수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수초선발 이용연구 김부영;김규식;박영대
  3. 환경농학회지 v.10 부레옥잠에 의한 생활오수의 정화효과 김부영;이상규;권장식;소규호;윤은호
  4. 서울대학교 자연대 논문집 v.7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김준호;김훈수;이인규;김종원;문형태;서게홍;김원;권도헌;유순애;서영배;김영상
  5. 한국생태학회지 v.12 낙동강하구 염습지 식물군락의 질소 및 인의 동태 김준호;문형태;민병미;조경제
  6. 한국식물학회지 v.26 해안 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Ⅲ). 인천 간척지의 토양환경, 종의 다양성 및 염류순환에 대하여 김준호;민병미
  7. 한국식물학회지 v.18 갈대군락의 현존량과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김철수
  8. 낙동강 하구의 사주식생 천이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문형태
  9. 정양호 생태계에 있어서 수생관속식물의 군집구조와 생각성 및 영양염류의 순환, 서울대학교 오경환
  10. 한국생태학회지 v.6 섬진강 하구 염습지 갈대군락의 생산성과 토양양분의 계절적 변화 오경환;임병선
  11. 수생식물(부레옥잠)을 이용한 돈사폐수의 처리, 부산수산대학교 이남희
  12. 인천교육대학 논문집 자연계열편 v.17 정양호 연안대에 있어서 줄군락의 기초생산성에 관하여 임영득;오경환;임병선
  13. 환경보전형 내수면 양식기술 개발 양어장 배출수의 정화를 위한 수생관속식물의 적용가능성 정연숙
  14.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생산과 질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학교 조강현
  15. Blackwell Sci. Publishing Chemical analysis of ecological materials Allen SE;JA Parkinson;HM Grimshaw;C Quaramby
  16. Aquat. Bot. v.26 Effects of submerged macrophytes on ecosystem processes Carpenter SR;DM Lodge
  17. Pond littoral ecosystems Nutrient uptake by littoral communities of helophytes Dykyjova D;Dykyjova(ed.);J Kvet(ed.)
  18. Pond littoral ecosystems Experimental hydroponic cultivation of helophytes Dykujova D;K Veber;Dykyjova D(ed.);J Kvet(ed.)
  19. Methods of productivity studies in root systems and rhizosphere organisms Methods of assessing rhizome and root production in reed-bed stands Fiala K;D Dykyjova;J Kvet;J Svoboda;Ghilarov MS(ed.);VA Kovda(ed.);LN Novichkova-Ivanoca(ed.);LE Rodin(ed.);VM Sveshnikova(ed.)
  20. Hydroviologia v.170 Influence of aquatic macrophytes on phosphorus cycling in lakes Graneli W;D Solander
  21. Two studies of Tinicum Marsh. Timicum marsh as a water purifier Grant RR;R Patrick
  22.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biology Water quality improvement functions of wetlands Hammer DA;Nierenberg WA(ed.)
  23.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Municipal, industrial and agricultural Hammer DA
  24. Aquat. Bot. v.27 Typha productivity in a Texas pond: Implication for energy and nutrient dynamics in freshwater watlands Hill BH
  25. Water Sci. Tech. v.29 Treatment of nitrogen and phosphorus by a constructed upland-wetl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House CH;SW Broome;MT Hoover
  26. Proceedings of Workshop on Wetland Systems for Wastewater Treatment Combination constructed wetlands, aquatic and soil filters designedfor reclamation and reuse of water House CH;BA Bergmann;AM Stomp;DJ Frederick
  27. Korean IBP Report v.6 Studies on the primary production of the Phragmites longivalvis community in Korea Kim CM;YJ Yim;YD Rim
  28. Water v.5 The potential for wasterwater treatment by aquatic plants in Australia Mitchell DS
  29. Wetlands Mitsch WJ;JG Gosselingk
  30.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Moshiri GA
  31. Ann. Progr. Rep. PFWOA, EPA(Project 1605 FJR, LSU) Nitrate removal form water at the water-soil interface in swamps, marshes and flooded soils Patrick WH;RD Delaune;DA Antio;RM Engler
  32. Ecosystems of the world I. Wet coastal ecosystems Human uses of salt marshes Queen WH;Chapman VJ(Ed.)
  33.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biology Wetlands ecology Richardson CJ;Nierenberg WA(ed.)
  34. The economic and social importance of estuaries Sweet DC
  35. Int. Symp. on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s and Animals in Extreme Environments, Dubrovnik Nutrient and sewage sludge enrichment expeiments in a salt marsh ecosystem Valiela I;JM Teal
  36. Soil and plant analysis for tree culture Wilde SA;RB Corey;JG Iyer;GK Voi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