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Hydrothermal Extracts from Fish Head 1.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tracts

어체두부열수추출물에 관한 연구 1. 추출물의 화학조성 및 물리적 특성

  • CHOI Sang-Hye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ong-M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ON Byung-Y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Hyeon-M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eun-Ta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Fish heads of the main by-product is fishery processing were treated to extract nutrients by heating the fish heads with 1.5 or 3.0 times added water during 9, 12 or 15 hours. The yield,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othermal extracts were studied. The yield wa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water added and the extracting hours. The extract contained about $80\%$ protein in solid basis, but has no lipid. In essential amino acid,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and Iysine was abundant. In free amino acid, $\delta$-hydroxylysine and L-histidine in Cypyrinus carpio linnaeus had 5 times more than those in Onchorhynchus keta, The solution of the extracts was known as Newtonian fluid and the color of the extracts showed lower whiteness, higher redness and higher yellowness.

가공 후 폐기되는 수산가공부산물의 이용성을 높이고, 식품첨가물로서의 식품 산업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잉어 및 연어의 두부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일반적인 성상을 검토한 결과 제조된 열수추출물은 모두 지질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단백질 함량이 약 $80\%$ 정도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열수추출조건에 따른 일반성분은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율에 있어서 열수추출물은 가수량이 많고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잉어 및 연어 두부 열수추출물 모두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도가 증가한 반면 가수량은 작을수록 가수분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Glu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필수아미노산의 경우는 식물성 단백질에 부족하기 쉬운 Lys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delta$-Hydroxylys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Glutamic acid와 L-Histidine은 잉어 두부 열수추출물이 연어보다 5배정도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열수추출물의 유동곡선을 살펴본 결과, 열수추출물 용액은 전형적인 Newtonian 유체임을 알 수 있었다. 표준 백색판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열수추출물의 색도는 전체적으로 백색도는 낮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