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Hydrothermal Extracts from Fish Head 2.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Extracts

어체두부열수추출물에 관한 연구 2. 추출물의 기능특성

  • CHOI Sang-Hye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i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ong-M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i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ON Byung-Y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i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Hyeon-Mec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i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eun-Ta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i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hydrothermal extracts were produced from fish head and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extracts exhibited an antioxidative effect and synergistic effect with $\alpha$-tocopherol by measuring peroxide values. The $5\%$ solution showed more antioxidative effect than $1\%$ solution. The extracts showed cryopropective effect, but the effect was less than sucrose. The solubility of the extracts was over $70\%$ in the all range of pH, and its lowest solubility was shown in pH 3.0. The extracts exhibited an emulsifying activity less than sugar ester (EAI=34.72) and little higher than or similiar to egg white (EAI= 14.69). The extracts showed a relatively high foam activity. The osmolality of the hydrothermal extracts at $1.0\%$ concentration were 23$\~$31 mOsmole which were much lower than 317 mOsmole at $1\%$ NaCl.

가공 후 폐기되는 수산가공부산물의 이용성을 높이고, 식품첨가물로서의 식품 산업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잉어 및 연어의 두부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기능특성을 검토하였다. 제조된 열수추출물은 모두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항산화능이 떨어졌으나 어느 정도의 항산화능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alpha$-tocopherol의 항산화작용에 대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또한 열수추출물의 농도가 $1\%$일 때보다는 $5\%$일 때 그 효과가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결 변성 방지효과에 있어서는 열수추출물들의 제조조건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ucrose보다는 떨어졌으나 동결 변성 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추출물 대부분이 pH에 관계없이 $70\%$이상의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며, pH 3.0에서의 용해도가 가장 낮았다. 잉어 및 연어 두부 열수추출물의 유화 활성은 sugar ester의 유화 활성 (EAI=34.72)에는 미치지 못하나 난백 (EAI=14.69)과는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Sugar ester와 난백 의거품성 및 거품안정성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으나, 열수추출물도 상당한 거품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잉어 및 연어두부 열수추출물의 osmolality는 23$\~$31 mOsmole로 동일 농도의 NaCl(317mOsmo1e) 보다는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