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Gomphina melanaegis (Bivalvia; Veneridae)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 LEE Jeong Yong (Kangnung Hatcher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Young Je (Kangnung Hatcher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CHANG Young Jin (Department of Aquacultur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정용 (국립수산진흥원 강릉수산종묘배양장) ;
  • 박영제 (국립수산진흥원 강릉수산종묘배양장) ;
  • 장영진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f Gomphina melanaegi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Chumunjin, Korea were investigated monthly from April 1996 to April 1997. G. melanaegis was dioecious, The gonads were located between the digestive diverticula and muscle tissues of the foot, The ovary was composed of a number of ovarian sacs, and the testis was composed of several testicular tubules. The flesh weight rate was reached the maximum in August ($23.0\%$), and then decreased to $19.8\%$ in September. In March, the value was reached the minimum ($17.8\%$) and then increased, The size of mature oocyte was ranged $50\~60\mu$m in diameter and had a germinal vesicle with a nucleolus. Mature oocyte contained a large number of yolk granules and lipid granules in its cytoplasm. The spermatozoon was consisted of a conical nucleus with acrosome, a middle piece containing four mitochondria and proximal and distal centrioles, and a flagellum, Sex ratio (male/female) and minimum size for sexual maturation of G. melanaegis were 0.79 and about 25 mm in shell length, respectively. The reproductive cycle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ive stages: multiplicative (December to March), growing (April and May), mature(June), sprawning (July and August), and degenerative and resting (September to November) stages.

1996년 4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강원도 주문진 연안에서 채집한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의 생식소 발달과정과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민들조개는 자웅이체로서, 생식소는 소화맹낭과 족부 근육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소소낭과 정소세관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육중량비는 1994년 8월에 $23.0\%$로 가장 높았으나 9월에 $19.8\%$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이듬해 3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인 후 다시 증가하였다. 성숙기의 난모세포 크기는 $50\~60\mu$m로 전자밀도가 높은 인을 가진 핵이 이중의 단위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질에는 다량의 난황과립과 지방과립 및 미토콘드리아가 분포하였다. 민들조개의 정자는 머리, 중편 및 꼬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치밀한 핵질로 충만한 원추형 머리는 그 선단에 첨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편부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와 원단중심소체가 편모와 연결되어 있었다. 꼬리의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를 나타냈다. 암수의 성비는 1 : 0.79였고, 생물학적 최소형은 각장 25.0 mm였다.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12$\~$3월), 성장기 (4$\~$5월), 성숙기 (6월), 산란기 (7$\~$8월) 및 휴지기 (9$\~$11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