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ctivin on Testosterone-primed Immature Rainbow Trout Gonadotropin Release in vitro

Testosterone 처리한 미성숙 무지개송어 뇌하수체의 세포배양계에서 생식소자극초르몬 분비에 대한 Activin의 효과

  • KIM Dae-Jung (Taean Hatcher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HAN Chang-Hee (Department of Biology, Dong-Eui University) ;
  • AIDA Katsumi (Department of Aquatic Bioscience,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Life Sciences, The University)
  • 김대중 (국립수산진흥원 태안수산종묘배양장) ;
  • 한창희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회전승미 (일본 동경대학 농학생명과학연구과 수권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The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ctivin-A on gonadotropins (GTHs) release in testosterone-treated immature rainbow trout Oncorhpynchus mykiss. The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elevated pituitary level of GTH II but not of GTH I. In this study using primary cultures of dispersed pituitary cells in static incubation, dose-dependent increases in GTH II release was observed in the activin-treated group at day 3 of incubation (long-term incubation), but not at day 1 of incubation (short-term incubation). Dopamine, a potent inhibitor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stimulated GTH II release in rainbow trout, was only partially effective in decreasing actvin-induced GTH II release. Furthermore, salmon GnRH (sGnRH)-stimulated GTH II release was not potentiated by the pretreatment with activin. However, the control mechanisms of GTH I release by activin and other hormones were not observed in the all tested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pport the contention that in contrast with the usual stimulatory effects of activin on GTH release in mammals, activin exerts long-term stimulatory actions on GTH II release in rainbow trout. The control mechanism of GTH I release, however, is a question that remains to be elucidated.

본 연구에서는 GTH I과 II의 분비조절기구을 밝히기 위하여 T을 경구투여한 미성숙 무지개 송어의 뇌하수체 세포배양계를 이용하여, activin에 의한 GTH I과 II의 분비량을 RIA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T의 positive feedback에 의해 뇌하수체내 GTH II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뇌하수체내 GTH I 함량는 T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뇌하수체를 이용한 세포배양 실험에서, 장시간 (3 일간)의 activin 처리에 의해 GTH II 분비량은 증가하였지만, 단시간 (24시간)의 activin 처리에 의해 GTH II 분비량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activin의 자극에 의해서 분비된 GTH II 분비량은 DA에 의해 부분적으로 억제되었지만, sG-nRH의 자극에 의해서 분비된 GTH II는 DA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었다. activin의 자극에 의해서 분비된 GTH II는 부분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러나 activin으로 전처리에 의해 방출된 GTH II 분비량은 sGnRH 자극에 의한 증폭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GTH I 분비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호르몬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GTH I과 II는 서로 다른 합성기구에 의해 조절되며, T에 의해 GnRH, activin 그리고 DA 수용체의 감수성이 발현되어 GTH II 분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GTH I의 분비조절 기구는 차후 계속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