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in Nutritional Qualities of Hydrocooked Fish Extracts Containing Spicy Vegetables

향신채소를 첨가한 어육 고음 추출물의 단백질 품질평가

  • RYU Hong-Soo (Department of Food and Life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Jeong-Hae (Department of Food and Life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WANG Eun-Young (Department of Food and Life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Yeoul (Department of Food and Life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Kyoung (Department of Food and Life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류홍수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 문정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 황은영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 이종열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 조현경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Protein nutritional quality of fish extracts processed at $110^{\circ}C$ for 5 hours with spicy vegetables (garlic, onion and ginger) were evaluated using in vitro and in vivo (rat assay) parameters, Pro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gree of discarding floated lipid on fish extracts and the kinds of added spicy vegetables. Hydrocooking ($110^{\circ}C$, 5 hours) tended to result in better protein qualities than high temperature cooking ($136\~140^{\circ}C$). Spicy vegetables had not remarkable effects on improving in vitro protein quality parameters. The fish extract with $10\%$ of ginger was generally higher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than those of the other vegetables. In spite of generally higher in vivo protein digestibility of fish extracts containing spicy vegetables processed at mild condition ($110^{\circ}C$), Protein efficiency ratios (PER) of-these extracts were not higher than those of extracts processed at severe conditions ($136\~140^{\circ}C$).

풍미향상과 고온 열처리로 인한 단백질 품질저하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세가지의 향신 채소 (마늘, 생강, 양파)를 첨가하여 $110^{\circ}C$에서 5시간동안 조리한 어육 고음추출물의 단백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향신채소를 첨가한 붕어 어육가수분해물의 유효성 Iysine은 생육의 유효성 Iysine과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광어의 경우는 $66\~84\%$ 정도 유지되었다. 친유성 갈변물질 발생정도는 원료어육에 비해 붕어의 경우는 오히려 낮고, 광어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런 종류의 갈변물질은 제거된 지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I생성은 원료어육과 별차이가 없고, 소화율은 원료어육보다 $4\~5\%$ 낮으나 대체로 고온 고음추출물에 비해 $3\~4\%$ 높게 나타나 단백질 품질 저하가 훨씬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원료어육의 유리 아미노산의 총량이 $2,000mg\%$ (광어), $2,240mg\%$ (붕어) 정도였던 반면, 향신채소를 첨가한 고음추출물에는 $3,800mg\%$ (광어), $3,700mg\%$ (붕어) 정도의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붕어 고음추출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glycine 및 alanine 이었으며, 광어의 경우는 taurine, alanine 및 asparagine이었다. 향신채소 첨가 어육 고음추출물 중 비교적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 된 생강첨가 추출물을 이용한 in vivo 단백질 품질 평가를 한 결과 in vivo 단백질 소화율은 표준단백질인 ANRC casein보다 $6\~7\%$낮았으나 고온 고압 처리 고음추출물보다 붕어의 경우 약 $10\%$이상 소화율이 높아졌다. Rat-PER은 약간 상승하였지만 실험 전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다만 고온 처리 시료에서 발생하였던 탈모현상은 볼 수 없었으며 분변의 상태도 약간 호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