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Questionnaire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법을 이용한 업무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설문지 개발

  • Kwon, Ho-Ja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Da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 Yeong-S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 Cho, Soo-H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 Kang, Dae-H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 Sung, Joo-H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 Choi, Seong-W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 Choi, Jae-W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ae-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yu (Seo-Gui-Po City Health Center) ;
  • Kim, Jai-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권호장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주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 조수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 강대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 성주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 최성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 최재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재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돈규 (서귀포시 보건소) ;
  • 김재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Objectives: Receive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with the area under the ROC curve(AUC) is one of the most popular indicator to evaluate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to discriminate workers at high-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using ROC analysis. Methods: The diagnostic results determined by rehabilitation medicine specialists in 370 persons(89 shipyard CAD workers, 113 telephone directory assistant operators, 79 women with occupation, and 89 housewives) were compared with participant's own replies to 'the questionnair on the worker's subjective physical symptoms'(Kwon, 1996). The AUC's from four models with different methods in item selection and weighting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se 4 models were applied to 225 persons, working in an assembly line of motor vehicle, for the purpose of AUC reliability test. Results: In a weighted model with 11 items, the AUC was 0.8155 in the primary study population, and 0.8026 in the secondary study population(p=0.3780). It was superior in the aspects of discriminability, reliability and convenience. A new questionnaire of musculoskeletal disorder could be constructed by this model. Conclusion: A more valid questionnaire with a small number of items and the quantitative weight scores useful for the relative comparisons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hile the absolute reference value applicable to the wide range of populations was not estimated, the basic intent of this study, developing a surveillance fool through quantitative validation of the measures, would serve for the systematic disease prevention activities.

ROC곡선의 AUC는 측전도구의 기준 타당도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화된 지표다. 본 연구는 ROC분석법을 이용하여 현행의 근로자건강진단에서 업무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고위험군을 변별하는 표준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하는 선박 설계업 종사자 89명, 전화번호 안내원 113명, 일반 직업 여성 79명, 주부 89명 등 총 370명의 일차 연구대상군에 대한 재활의 학과 전문의의 최종 진단결과를 기준으로 1996년에 개발된 '근로자의 신체 증상에 관한 설문지'의 응답결과를 비교하였다.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이 높은 문항조합을 선정하고 문항별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해 로짓회귀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문항조합 및 가중치 산출방법이 서로 다른 4가지 설문모형에 따른 AUC를 비교 하였다. 또한, 국내 모 자동차조립공장 근로자 225명의 설문결과와 산업의학 전문의의 진단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4가지 설문모형의 AUC 재현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으나 문항수를 줄여도 문항별 응답수준별 가중치를 부여하면 AUC가 일관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증상문항 4개와 신체부위문항 7개를 통합한 11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모형이 변별력, 재현도, 편의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기준으로 새로운 업무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설문지를 설계할 수 있었다. 문항수가 적으면서도 타당도는 높은 설문지를 개발하고, 상대적인 비교평가에 쓰일 수 있는 정량적 가중치를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주요성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의 사이의 진단기준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점, 다양한 인구집단에 적용할만한 절대적인 참고치를 제시하지 못한 점 등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측정 도구의 정량적 타당도 검증을 통한 질병 감시용 도구 개발'이라는 본 연구의 기본 취지 및 접근방법은 향후 조직적인 질병 예방활동에 활용될 여지가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