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noch-$Sch\ddot{o}nlein$ 자반증 환아에서 신침범에 대한 위험인자 분석 및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의의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Significance of Tumor Necrosis Factor(TNE)-$\alpha$ in Henoch-$Sch\ddot{o}nlein$ Nephritis

  • 송영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하태선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Song Young-Jun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 Tae-Sun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0.04.01

초록

목 적 : Henoch-$Sch\ddot{o}nlein$(HS)자반증에서 신증상은 가장 심각한 증상이고 HS자반증의 예후와 관련되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immunoglobulins, 보체계, interleukin(IL)-1, interleukin(IL)-6 또는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등과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s 등의 병인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S자반증의 임상 증상들을 신침범 유무에 따라 비교하여 신침범의 임상적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 및 뇨중 TNF-$\alpha$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신침범 환아에서 병인론적 역할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3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소아과를 방문한 HS자반증 환아 12명, HS 신염 환아 7명, 연령별 대조군 5명을 대상으로 환아의 연령, 성별, 전구증상, 복통, 관절통, 자반의 정도와 지속기간, 스테로이드의 사용유무 등에 따른 신증상 발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상 환아들의 혈청은 내원 당시 채혈하여 3,000g,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20^{\circ}C$에 보관하였으며 소변은 내원 당시 채취하여 $-20^{\circ}C$에 보관 후,R & D system(Mineapolis, USA)의 $Quantikine^{TM}$ human TNF-$\alpha$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TNF-$\alpha$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임상인자 중 자반이 4주 이상 지속되는 지속성 자반증 환아에서 신염 발생율이 의미있게 높았으며 (P=0.0018), 복통이나 관절통 등으로 인하여 급성기에 사용한 스테로이드는 신염의 발생율과는 연관성이 없었고 자반의 지속기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급성기 혈청 TNF-$\alpha$는 신염을 동반한 HS자반증 환아에서 연령별 대조군이나 신염이 없는 HS자반증 환아보다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27, P=0.012) 뇨중 TNF-$\alpha$농도는 연광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혈청 TNF-$\alpha$의 상승과 임상적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조사해 보았을 때 지속적 자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38). 결 론 :혈청 TNF-$\alpha$농도는 HS자반증에서 신염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임상적 위험인자로 자반의 지속기간과 함께 HS자반증 환아의 신침범에 대한 예측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HS신염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TNF-$\alpha$에 대한 생성억제제나 특이항체 등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Renal involvement i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of HSP. Therefore, the pathogenesis and prognostic factors in renal involvement have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isk factors and the role of TNF-$\alpha$ in renal involvement of HS purpur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patients of HS purpura, 7 patients of HS nephritis, and 5 age-matched controls. We have analysed the rist factors for renal involvement in clinical symptoms and collected the sera and urines of all subjects in acute and convalescent stage. The concentration of TNF-$\alpha$ in the collected sera and urines were measured by sandwich ELISA and compared with that of age-matched controls.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persistent purpura increased the risk of developing renal involvement (P=0.0018). and serum TNF-$\alpha$ levels in the acute stage of patients with renal involvement($11.45{\pm}7.01$ pg/m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without renal involvement($6.32{\pm}1.31$pg/m1) and of age-matched controls($5.99{\pm}1.34$pg/m1)(P=0.012, 0.027, respectively). However, urine TNF-$\alpha$ levels have no correlation with renal involvement. On investigation of serum TNF-$\alpha$ levels in acute stage of HS purpura, persistent purpura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P=0.038). Conclusion: Serum concentration of TNF-$\alpha$ is a risk factor and has a predictable value along with clinical risk factors, such as, persistent purpura for renal involvement in HS purpura. Also, the effectiveness of the specific treatment fur antagonizing TNF-$\alpha$ in HS nephritis may need further stud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