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nondestructive geomagnetic survey with archeological survey for detec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n Doojeong-dong site, Cheonan, Chungnam Province

매장문화재 확인을 위한 자력탐사 및 발굴 비교연구: 충남 천안시 두정동 발굴지역

  • Suh, Man-Cheol (Dept. of Geoenvironmental Sci., College of Natur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 ;
  • Lee, Nam-Seok (Dept. of History, College of Human and Social Science, Kongju Natioanl University)
  • 서만철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 ;
  • 이남석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사학과)
  • Published : 20000900

Abstract

A nondestructive experimental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magnetometer to find buried cultural objects at pottery and steel matters in low-relief mountaineous area of Doojeong-dong, Cheonan, Chungnam Province from May 23 to July 18, 1998. Magnetic survey was carried out with $20cm{\times}20cm$ grid in a site of $20m{\times}40m$ before excav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magnetic anomalie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cavation. Magnetic sensor was located on the surface of ground during the magnetic survey on the basis of an experimental result. Positive magnetic anomalies of maximum 130 nT are found over a pair of potteries. Magnetic anomaly map reveals several anomalous points in the 1st and 4th quadrants of the survey site, from where potteries and their fragments were confirmed. Six points out of seven points cprrelated with magnetic anomaly are found contain earthwares, whereas a magnetically uncorrelated location produced earthware made of unbaked clay. Steel waste such as cans and wires hidden in soil and bushes also influenced magnetic anomalies. Therefore, it is better to remove such steel wastes prior to magnetic survey if possible. Some magnetically anomalous points produced no archaeological object on excavation. This may be explained by shallower level of excavation than burial depth.

충남 천안시 두정동 야산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대상지에서 자력탐사를 이용한 비파괴 문화재탐색 응용가능성에 대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고학적 발굴대강지에 대하여 발굴이 시작되기 전 자력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력탐사 결과 나타난 자력이상대를 발굴후의 유물분포상황과 비교하였다. 자력탐사시 $20cm{\times}20cm$ 격자망을 구성하여 $20m{\times}40m$ 구역을 측정하였으며 자력센서는 지면에 위치시켰다. 기존의 발견된 토기를 대상으로 자력측정한 결과, 토기가 위치한 지점의 자력이 상이 주위의 평균치보다 최대 130nT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등자기이상 분포포의 해석결과, 연구지역내의 1사분면과 4사분면에 나타난 자기이상지점들과 발굴결과 화인된 토기 및 토기의 파편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한다. 고고학적 발굴결과 연구지역내에서 발견된 토기위치는 7곳이었으며 이중 6곳은 모두 자력이상지점과 일치하며, 한 곳은 자력이상지점이 아닌 곳에서 발견된 바, 이 토기는 연 토기로 판명되었다. 또한 발굴당시 확인된 숲속이나 천부지층내에 매몰된 철제 쓰레기, 철사 등의 장애물 역시 등자력이상도에서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력탐사를 수행하기 앞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철제장애물들은 제거한 후에 탐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인이 뚜렷히 확인되지 않는 자력이상지점들은 현재의 발굴충위보다 깊은 곳에 유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발굴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존과학회지 v.6 매장문화재의 과학적보존 개요 김유선
  2. 보존과학회지 v.6 no.2 고고학적 발굴과 출토과정에서의 제문제점 임효재
  3. 송산리고분군의 현황과 보존대책 서만철
  4. 공주지역백제고분조사 서만철;이남석;조기호
  5. 보존 과학회지 v.6 no.1 송산리고분군의 지구물리학적 조사를 통한 고분축조방법 고찰 서만철;이창환;정계옥;김동현
  6. 천안지질도폭 설명서 신병우;남기상;이종덕
  7. 공주 상왕동 지역의 유적 존재 가능성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오순옥
  8.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v.59 Potential field tilt-a new concept for location of potential field sources Miller, Hugh G.;Singh, Vijay
  9.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v.59 Semiquantitative techniques for the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directional trends in potential field data Miller, Hugh G.;Singh, Vijay
  10. Geophysics v.51 Display of archaeological magnetic data Scollar, Irwin;Weidner, Bernd;Segeth, Karel
  11. Geophysics v.51 Archaeological prospection: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Wynn, Jeffrey C.
  12. Geophysics v.51 Geophysics results in archaeology in Hungary Pattantyus-A, M.
  13. Geophysics v.57 no.1 Magnetic interpretation using the 3-D analytic signal Rlest, Walter R.;Verhoef, Jacob;Pilkington, Mark
  14. Geophysics v.51 Archaelogical site surveying program at the Univ. of Nebraska Weymouth, J.W.;Huggins, R.
  15. Definitive Geomagnetic refernce field NG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