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돗개에서 발생한 부루셀라병

Canine Brucellosis in the Jindo

  • 발행 : 2000.12.01

초록

전라남도 진도군 내에서 사육되는 진돗개에서 발생한 유산의 일부가 Brucell canis 에 의하여 유발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1997년 7월에서 1998년 6월 사이에 발생한 진돗개의 유산을 설문조사로 확인하였던 바 발생률이 18.5%에 달했다. 이어서 설문조사에 포함된 지역에서 사육되는 진돗개를 대상으로 신시한 혈청학적 조사에서는 25%가 양성을 보였으며, 수캐의 양성률은 암캐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다음으로 균 분리와 치료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유산 병력을 기치고 있으면서 혈청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낸 암캐 다섯 마리를 현지에서 구입하였다. 그 중 세 마리는 안락사 시킨 후 부검하여 자궁을 검사하고 균 분리를 시도한 바 세 미리 모두에서 B. canis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육안적 및 조직학적 변화 는 현저하지 않았다. 나머지 두 마리는 minocycline과 streptolmycin으로 치료하였는데, 치료를 끝낸 후 8주에 실시한 혈청검사에서 음성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개 부루셀라병이 진돗개를 사육하는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음을 나타내준다. 아울러 대부분의 진돗개가 방사되고 있으며, 그렇게 사육된 개들이 전국적으로 팔려나가고 있기 때문에 진돗개가 개 부루셀리병의 전파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준다 천연기념물인 진돗개의 보 호와 농가의 소득 그리고 공중위생학적인 면에서 진품개의 부루셀라병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Am J Publ Hlth v.66 Brucella canis infectivity rates in stray and pet dog populations Brown J;Blue JL;Wooley RE;Dreesen DW
  2. J Am Vet Med Assoc v.149 Abortion in 200 beagles Carmichael LE
  3. Cornell Vet v.58 Characteristics of a newly-recognized species of Brucella responsible for infectious canine abortions Carmichael LE;Bruner DW
  4. Cornell Vet v.77 A rapid slide agglutination test for the serodiagnosis of Brucella canis infection that employs a variant (M-) organism as antigen Carmichael LE;Joubert JC
  5. J Am Vet Med Assoc v.152 Canine abortion caused by Brucella canis Carmichael LE;Kenney RM
  6. J Am Vet Med Assoc v.165 A serologic survey for canine brucellosis in a metropolitan area Fredrickson LE;Barton CE
  7. J Am Vet Med Assoc v.171 A serologic survey for Brucella canis in dogs on a military base Galphin SP
  8. J Am Vet Med Assoc v.165 Survey of selected carnivore and opossum serums for agglutinins to Brucella canis Hoft GL;Bigler WJ;Trainer DO;Debbie JG;Brown GM;Winkler WG;Richards SH;Reardon M
  9. J Am Vet Med Assoc v.177 Canine brucellosis: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with serologic test results Hubbert NL;Bech-Nielsen S;Barta O
  10. Compend Contin Educ Prac Vet v.14 Clinical signs and diagnosis of Brucella canis infection Johnson CA;Walker RD
  11.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the Jindo dogs-a baseline examination Kim YK;Kim JH;Lee CG;Lee CY;Park GS
  12. Proc 4th Ann Meeting, Korean Fed Soc Anim Sci Preservation and rearing of Korean Jindo dogs Lee CG
  13. Asian-Aust J Anim Sci v.13 A review of the Jindo,Korean native dog Lee CG;Lee JI;Lee CY;Sun SS
  14. Korean J Vet Res v.28 Jindo dogs-Korean native dogs: A historical review Lee CG;Yoo GH
  15. Am J Publ Hlth v.66 Serosurvey of dogs for Brucella canis infection in Memphis,Tennessee Lovejoy GS;Carver HD;Moseley IK;Hicks M
  16. RDA J Agri Sci v.36 Studies on serological tests in canine brucellosis Moon JS;Park YH;Jung SC;Ku BG;Jang GC;Shin S;Lee SI;Lee JM;Shin SJ
  17. Korean J Vet Res v.39 Occurrence of canine brucellosis in a large kennel in Chonnam area Moon JS;Oh GS;Park IC;Kang BK;Lee CY;Jung SC;Park YH;Shin SJ
  18. Korean J Vet Res v.39 Therapeutic value of antibioties in dogs infected with Brucella canis Moon JS;Oh GS;Park IC;Kang BK;Lee CY;Jung SC;Park YH;Shin SJ
  19. J Am Vet Med Assoc v.153 Eradication of Brucella canis infection from a dog colony Moore JA;Gupta BN;Conner GH
  20. J Am Vet Med Assoc v.155 Male dogs naturally infected with Brucella canis Moore JA;Kakuk TJ
  21. Diagnostic procedures in veterinary bacteriology and mycology (5th ed) Nicoletti P;Brucella.In;Carter GR;Cole JR(editors)
  22. J Am Vet Med Assoc v.160 Canine brucellosis: control programs in commericial kennels and effect on reproduction Pickerill PA;Carmichael LE
  23. J Kor Soc Microbiol v.7 Isolation of Brucella suis from aborted fetus of a dog Tak RB;Chun DK
  24. Jindo dogs Yoon 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