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taxonomy of the Forest Vegetation and Surrounding Taegu, Korea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 Choung, Heung-La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
  • Lee, Ho-Jo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
  • Lee, Jae-Seok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Tsukuba)
  • 정흥락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 이호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 이재석 (축파대학교 생물과학계)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The forest vegetation surrounding Taegu area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from September, 1994 to August, 1997.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8 subcommunities and 5 afforestations as follow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Carex siderosticta sub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dentate community, Carpinus cordata-Acer mono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Quercus serrata subcommunity, Cornus controversa sub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Sanguisorba officinalis sub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Lespedeza maximowiczii-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 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 Pinus rigida afforestation, Larix leptolepis afforestation, Pinus thunbergii afforestation,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The differential species of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re Quercus mongolica, Athyrium yokoscens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raxinus sieboldiana, Acer pseudo-sieboldianum,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Weigela subsessilis, and Melampyrum roseum, those of the Carpinus cordata-Acer mono community were Acer mono, Carpinus cordata, Carpinus laxiflora, and Staphylea bumalda, those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Cocculus trilobus, and Juniperus rigida. Constance degree of the Quercus serrate was especially high in shrub and herb layers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by DCA showed that distribution pattern of the communities were similar to that by Z-M method and that communities were arranged according to soil moisture gradient.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of the P. densiflora community and the Typical subcommunity of the Q. mongolica community were distributed in similar environments.

1994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서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대사초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층층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오이풀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털진달래-그늘사초군락, 아까시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곰솔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의 7군락, 8하위군락, 5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신갈나무, 뱀고사리, 철쭉꽃, 쇠물푸레, 노린재나무, 노루오줌, 병꽃나무, 꽃며느리밥풀,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에서는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고추나무, 소나무군락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댕댕이덩굴, 노간주나무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졸참나무는 소나무군락의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높은 상재도를 보였다. DCA에 의한 요인분석에서는 표조작에 의한 군락분류와 유사한 군락의 분포패턴을 보였으며,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의 철쭉꽃하위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전형하위군락은 유사한 입지환경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생태학회지 v.10 칠갑산의 식생 고재기;임양재
  2.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대구.달성(10-18)의 자연환경"에서 대구.달성지역의 식생 곽영세;김종택
  3.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v.10 산불에 의한 소나무수림의 2차 식생에 관하여 김원
  4. 한국생태학회지 v.4 산림피해임지와 무피해임지의 식생과 미기상변화에 관하여 김원;이종운;이은호
  5. 경북대학교 논문집 v.43 팔공산 폭포골 벌목지의 식생재생과 식생조성 김원;조영호
  6. 한국임학회지 v.79 가산일대의 삼림식생과 식물상-식물사회학적 분석 김원호;배관호;조현제;홍성천
  7. 창원대학 논문집 v.9 창원지역 식생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김인택
  8. 한국생태학회지 v.15 가덕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김인택;이상명;변두원
  9. 식생조사법(식물사회학적연구법) 김준민;김철수;박봉규
  10. 자연보존연구보고서 v.8 영산호 유역 식물군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김철수;송태곤
  11. 한국생태학회지 v.14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Ⅳ)-외나로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김철수;오장근
  12. 한국생태학회지 v.16 무등산의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김철수;오장근
  13.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거제도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류병혁
  14.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대구.달성(10-18)의 자연환경"에서 비슬산(대구.달성)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박재홍;최경
  15.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Z-M방법과 서열법에 따른 오대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비교 연구 변두원
  16. 한국생태학회지 v.16 안동 임하댐 일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송종석;김헌규
  17. 한국생태학회지 v.18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의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송종석;송승달;박재홍;서봉보;정화숙;노광수;김인선
  18. 경북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 v.5 경북식물조사연구 양인석
  19. 안동교육대학 논문집 v.4 비슬산 식물 조사보고서 오수영
  20. 안동교대 논문집(자연과학) v.5 팔공산 식물조사 보고서-경북지방 식물조사 연구(제 4보)- 오수영
  21. 한국식물분류학회지 v.3 최정산 식물 조사보고서 오수영
  22. 생물과 자연 v.8 대구지역의 식물상에 관한 분류학적 및 생태학적 연구 오수영;김원
  23.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팔공산 일대 식물에 대한 연구 이국진
  24.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시 앞산자연공원 일대의 현존삼림식생과 식물상 이은경
  25. 한국생태학회지 v.14 검단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이호준;김하송;조은부
  26.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v.23 칠절봉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림의 군락구조와 토양환경 이호준;배병호;전영문;정홍락;홍문표;김용옥;길지현
  27. 한국생태학회지 v.16 가야산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 사회학적 연구 이호준;변두원;김원식;이재석;김창호
  28. 한국생태학회지 v.17 명지산 신갈나무림의 군락분류와 식생패턴 이호준;이재석 변두원
  29.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월악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림의 종조성과 토양환경 이호준;전영문;김창호
  30. 한국생태학회지 v.16 일월산의 삼림식생분석 이호준;정흥락;변두원;김창호
  31. 한국생태학회지 v.18 청량산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및 종간연관 분석 이호준;정흥락;배병호
  32. 지리산의 식생 임양재;김정언
  33. 설악산의 식생 임양재;백순달
  34.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29 속리산일대의 식생 임양재;심재국;방제용
  35.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팔공산 자연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전재인
  36. 경북대학교 논문집 v.47 비슬산의 식물상 조영호;김원
  37. 한국임학회지 v.79 팔공산 삼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Ⅰ)-소나무림에 대해서- 조현제;홍성천
  38. 정밀토양도(대구시 및 달성군) 한국토양조사사업기구
  39. 팔공산자연생태계조사보고서 홍성천
  40. Hikobia v.10 韓國の針廣混交林に關する植物社會學的硏究 宋鍾碩
  41. 倭館圖幅說明書 1:5萬地質圖:慶州,永川,大邱 立岩巖
  42. 圖說日本の植生 沼田眞;岩瀨徹
  43. Vegetatio v.67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2nd edition) Barkman J;J.Moravec;S.Rauschert
  44. Pflanzenziologie(1st ed.) Braun-Blanquet J
  45. Pflanzenziologie(2nd ed.)
  46. Pflanzenziologie(3rd ed.)
  47. Ph.D.Thesis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in and surrounding Taegu,Korea. Chong H.L
  48. J.of Vegetation Science v.8 A digital land cover map of Wyoming,USA: a tool for vegetatioj analysis Driese K.L;W.A.Reiner;E.H.Merrill;K.G.Gerow
  49. Korean J.Bot v.31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es in Mt.Naejang,southwestern Korea Kim J.U;Y.J.Yim
  50. Ph.D.Thesis.Wien University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Kim J.W
  51.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v.8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Past,present and future Mucina L
  52.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Mueller-Dombois D;H.Ellenberg
  53.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Japanese J.Ecol. v.2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Ⅰ. Yim Y.J;T.Ki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