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타입 이론을 적용한 계층적 이미지 계측시스템

A Study on Image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totype Theory

  • 김돈한 (울산대학교 정보디자인학과)
  • 발행 : 2001.02.01

초록

인상이나 감성적 기호가 구매에 영향을 주는 제품군의 디과인에 있어서는 사용자 시점으로부터의 감성적 평가를 디자인 프로세스의 보다 상류단계에서부터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이디어 스케치 개량을 위한 유효한 정보로서 피드백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감성적 평가에 있어서, SD법(의미미분척도법)으로 대표되는 종래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계측대상을 [집단적인]경향으로 취급하여 독립적으로 판단을 하도록 요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SD법적 평가만으로는 사물인지과정에 있어서 인간의 유연한 유사성 판단능력을 평가에 반영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감적 판단에 의한 자극의 분류와, 계층분석법 및 퍼지적분법에 기초를 둔 계층적 이미지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가 프로세스는 평가 자극 및 평가 항목의 직감적 분류,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의 대표예의 선정, 각 자극의 이미지평정, 피지적분법에 의한 우선도의 산출 등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며, 이러한 평가 프로세스를 상호대화적인 환경하에서 수행하기 위한 평가지원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In order to design the products that impression or emotional taste influence the purchase, feedback is necessary as useful data for better idea sketches through users emotional evaluation in early stage of design process. On the other hand, it was required to make judgments individually in previous image evaluations for emotional evaluations such a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method) that objects have been considered as classified tendency. However those SD methods are not enough to reflect flexible human capability with similarity judgment in object perceptual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classification of stimulus based on intuitive judgment and a hierarchical image evaluation method based on analysis of hierarchical process and fuzzy integration. The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order of process, intuitive classification of objective stimulus and items, definition of representatives in each class. Evaluation for each image of the stimulus, calculation of prior raking based on fuzzy integration. The evaluation supportive software is developed to conduct this evaluation process under interactive environ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