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에 의한 묘박상황의 감시

Ship′s Distance Measuring System by the GPS Receiver in Anchoring Watch

  • 발행 : 2001.11.01

초록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의 실습선 새바다호를 사용하여 통영항 내의 동호만에서 1999년 9월 3~4일 사이에 투묘와 양묘를 포함한 선박의 궤적을 PATK-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와 거리 및 상대방위를 측정하고, 그 측위 정도의 유효성과 묘박의 실시간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투묘 후 묘가 브로트업 앵커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4분이 소요되었고, 완전한 묘박 상태로 되어 선박의 궤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요하는 시간은 10분 정도였다. 2. 묘박중 선체는 묘를 중심으로 하여 8자형의 요동운동을 나타내었다. 3. 측정 전체 시간대의 평균 묘박위치는 투묘위치로부터 북으로 49m, 동으로 89m로 편향되었다. 4. 선박의 궤적은 묘를 중심으로 하여 상태방위 $186.1^\circ$에서 $194.2^\circ$까지의 $8.1^\circ$ 폭 사이를 장반경 63m, 단반경 53m의 거리로 타원형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선위의 분포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상대방위 $187^\circ$, 거리 558m 지점이었고, 가장 낮은 점은 상대방위 $194^\circ$, 거리 556m의 지점이었다. 6. PRTK-GPS는 거리와 방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묘박에 요구되는 적정한 면적과 주묘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묘박의 감시에 매우 적절한 시스템이라 판단된다.

It was set up MCS and MS of ship's distance measuring system in land and ship respectively and ship's track including dropped and hove up anchor was tracked by mean of measurement for ship's position, relative bearing and distance from MCS to MS. Results analyzed for possibility of real time anchoring watch and effectiveness of measuring position are as follow; (1) The elapsed time from dropped anchor to hove up anchor is 4 minutes and the elapsed time to start recording ship's track after set up anchoring state is 10 minutes approximately. (2) Shape of hull's swing during anchoring is mostly 8 figue-like or rarely peanut-like shape. (3) Mean anchoring position during whole measuring time was shifted 49m north and 89m eastly. (4) Ship's track were moved counter-clockwise for $8.1^\circ$ range from relative bearing $186.1^\circ$ to $194.2^\circ$ ellipse-like tracks with the major axis 63m and the minor axis 53m. (5) High frequency of ship's position distribution was shown at relative bearing $187^\circ$ and distance 558m while low frequency was shown at relative bearing $194^\circ$ and distance 556m. (6) The designed ship's distance measuring system by PRTK-GPS was fit very well for anchoring watch as secured necessary area demanded for dragging anchor as well as anchoring by means of real time measurement both in distance and bea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Report No., ER 5885 Mud and rock anchor feasibility and design study for mutileg mooring system Scatte, H. W.
  2. Behavior of anchor different soil conditions,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 304 Puech, A.
  3. 操船通論 本田啓之輔
  4. 船長 v.103 錯泊について 鶴田三郞
  5. 船長實務叢書 v.67 錯泊に關する二·三の門題 鞠谷宏士
  6. 硏究報告 v.1 船の振れ回?と錯鎖の張力 志波毆光
  7. Technical note v.33 Specialzed anchors for the deep-sea progress summary Smith, J. E.
  8. Ocean engineering v.3 Behavior of underwater suction in soil Wang, M. C.
  9. 日本抗海學會 論文集 v.62 一樣なれのに中置かれた錯鎖の形象と張力に關する硏究-Ⅰ 實琦芳夫
  10. 日本航海學會 論文集 v.65 一樣なれのに中置かれた錯?の形象と張力に關する硏究-Ⅱ 小池孝知
  11. 日本航海學會 論文集 v.190 走錯危險指數から見た錯泊の設計 指針 臼井英夫
  12. 日本航海學會誌 v.118 荒天錯泊にぉける AC14型錯の使用結果につてい 藤原有喜子;中村保博
  13. 日本航海學會 論文集 v.36 荒天錯泊に關する實驗硏究 米田 他
  14. 日本航海學會 論文集 v.97 船上にあけ主錯檢知について 井上坵三
  15. 日本航海學會 論文集 v.98 GPSを使用した錯泊の實時間監時 領木 治;中村武史;浪江宏安;安全明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