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ognitive/Affective Variables, Cognitive Conflict Induced by Anomalous Data, and Conceptual Change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변인,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 갈등, 개념 변화 사이의 관계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ognitive/affective variables, cognitive conflict induced by anomalous data, and conceptual change were investigated. Tests regarding background knowledge,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logical thinking ability,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prior concept and ability, and control belief were administered. Tests of prior conceptions, responses to anomalous data, conception, and retention of conception were also administe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cognitive conflict induced by anomalous data with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However, prior knowledge on molecular motion,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nd learning strateg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udents' conception and retention of conception. Logical thinking ability was also correlated with their concep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earning strategy significantly predicted students' conception and retention of conception. For the affective variables, self-efficacy on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udents' conception and retention of conception, and goal orientation was correlated with their conception. Self-efficacy on abilit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n students' conception and retention of conception, and goal orientation on their conception.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 갈등, 개념 변화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배경 지식, 장의존성 독립성 학습 전략, 논리적 사고력, 목표 지향, 선개념 및 능력에 대한 자아효능감, 통제 신념 등을 조사하였고, 선개념 검사,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 직후 개념 및 개념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과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 갈등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분자 운동에 대한 배경 지식, 장의존성, 독립성, 학습 전략은 학생들의 직후 개념 및 개념 파지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논리적 사고력과 직후 개념의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중다 회귀 분석 결과,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직후 개념과 개념 파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정의적 변인의 경우, 능력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직후 개념 및 개념 파지와, 목표지향은 직후 개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능력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직후 개념과 개념 파지에 대한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으며, 목표 지향은 직후 개념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 변인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