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ssociated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폐경후에 골밀도의 관련인자 분석

  • 강점덕 (안동과학대학 물리치료과)
  • Published : 2001.07.21

Abstract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ed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as measured for 36 normal in the women from July 14.2000 to august 24,2000.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omen who visited Physical Examination Center of a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aegu. Bone mineral density(BMD) of lumbar spine was measured using energy absorptiometry.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decreased with ag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increased with number of delivery and number of abortion decreased.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of postmenopausal women in age less than 50 and 50 ${\sim}$ 59 were 0.79 g/c$m^2$, the lumbar spine of postmenopausal women in age greater than 60 was 0.69 g/c$m^2$.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of postmenopausal women in mean age 56.1. Conclusions: In the multiple regression of risk factors to bone mineral density(BMD) of lumbar spine were correl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T-scores(p<0.05). Osteoporosis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among the elderly, demanding effective strategic approach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본 연구는 2000년 7월 14일부터 8월 24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가톨릭병원 건강검진센타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여성 36명을 대상으로 폐경후 여성의 골밀도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령의 증가에 따라 요추부의 평균골밀도는 감소되었고, 신장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평균골밀도는 증가했으며, 독신(이혼, 사별, 별거), 활동적인 직업 , 요통이 없다, 육류의 항목에서 평균골밀도는 각각 증가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 값은 -2.5이하의 골다공증군이 41.7%로 가장 많았고, 골밀도 (BMD)는 평균 0.77g/c$m^2$로 나타났다. 가족중 골절시 연령이 증가할수록, 운동횟수, 운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각각 골밀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 절제술은 안했다가, 혈액형은 A형의 항목에서 골밀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폐경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 값이다(p<0.05). 본 연구는 폐경후 적성의 골밀도 관련요인에 대한 많은 변수를 고려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