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between the Disturbed and Undisturbed Wetlands around the Littoral Zone of Namgang

남강의 연안대 습지에서 교란지와 비교란지의 식생구조와 환경요인의 비교

  • Gang, Seon-Hee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Pal-H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on, Sung-G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Cheol-So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Oh, Kyung-hwa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강선희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전연구소) ;
  • 이팔홍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전연구소) ;
  • 손성곤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전연구소) ;
  • 김철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전연구소) ;
  • 오경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전연구소)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The flora, vegetation structure, distribution of the vascular plan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nutrient contents of palnts were investigated in the ten disturbed and undisturbed wetlands around the littoral zone of Namgang, Jinju-si, Gyongsangnam-do, Korea from August 7 to August 15 in 1999. 217 taxa of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to 2 formas, 26 varieties, 189 species belong to 142 genera under 52 families were sampled or recorded. Dominant species of the undisturbed and the disturbed area were Persicaria thunbergii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of which importance values were 13.86, and 15.81, respectively. Among 26 species of the naturalized plants, importance value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as highest as 9.54. The ranges of species diversity indices (H') were 1.370~1.819, and highest in the site 1 of the undisturbed area. The ranges of eqitability (J') were 0.779~0.902, and highest in the site 8 of the disturbed area. The ranges of community similarity indices ($CC_s$) were 0.341~0.578 among the ten wetlands, and highest between site 1 and site 2 which were the undisturbed area. The ranges of sediment properties such as pH, conductivity, organic matter, total phosphorus, and total nitrogen were 5.17~7.35, $24.67{\sim}74.33{\mu}mhocm^{-1}$, 1.09~3.82%, 0.0008~0.0034 mg/100g, and 0.06~0.15%, respectively. Nutrient contents of plants such as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were 1.52~2.65% and $0.010{\sim}0.039mg100g^{-1}$, respectively. It was recommend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ervation area was necessary to ensure the habitat for wild life and to maintain the diversity of the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남강 연안대의 습지 개발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연안대 습지의 보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진주시를 관통하는 남강 주변의 비교란된 습지와 교란된 습지에서 1999년 8월 7일부터 8월 15일까지 관속식물의 종조성, 분포, 식물군락의 구조, 저토의 물리 화학적 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52과 142속 189종 26변종 2품종으로 총 217종류였다. 수생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분류하면 정수식물 23종류, 부엽식물 1종류, 부수식물 4종류, 침수식물 6종류 등으로 총 13과 34종류였고 다른 관속식물은 183종류였다. 2. 조사지역 전체에서 우점종은 중요치가 10.26인 고마리였고, 돼지풀, 환삼덩굴, 달뿌리풀 등의 순이었다. 비교란지의 우점종은 중요치가 l3.86인 고마리였고 달뿌리풀, 환삼덩굴, 나도미꾸리낚시 등의 순이었으며, 교란지의 우점종은 중요치가 15.81인 돼지풀이었고, 매듭풀, 쇠치기풀, 쑥 등의 순이었다. 3.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총 26종류였는데 귀화식물의 중요치는 비교란지보다 교란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4. 종다양성 지수는 비교란지인 Site 1이 1.819로 가장 높았으며, 균등도 지수는 교란지인 Site 8이 0.902로 가장 높았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Site 1과 Site 2가 0.578로 다소 높았으며, Site 1과 Site 10은 0.341 로 가장 낮았다. 5. 저토 환경은 pH 5.17~7.35, 전기전도도 $24.67{\sim}74.33{\mu}mhocm^{-1}$, 유기물량 1.09~3.82%, 총질소량 0.06~0.15%, 총인량 $0.0008{\sim}0.0034mg100g^{-1}$ 등의 범위였다. 6. 식물체내 총질소 함량은 1. 52~2.65%이고, 총인량은 $0.010{\sim}0,039mg100g^{-1}$였는데, 질소 함량은 비교란지에서, 인 함량은 교란지에서 다소 높았다. 7.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확보하고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책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