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According to the Jigging Depth of Hooks and Underwater Illumination in Squid Jigging Boat

소형 오징어 채낚기 어선의 낚시 깊이별 조획량과 수중 조도

  • CHOI Sok-Jin (Fishing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Fisheries Engineering) ;
  • ARAKAWA Hisayuki (Department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Tokyo University of Fisheries)
  • 최석진 (수산공학연구소 어업생산공학부) ;
  • 황천구행 (동경수산대학 해양환경학과)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according to the jigging depth and underwater illumination by fishing lamps was investigated during nighttime operations off-Tusima Islands in November 1994 and off-Oki Islands in November 1995. We used echo sounder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squid. Echo images on the echo sounder showed the distribution of squid at the water layer of 50 meter depth at the beginning of jigging operation. After the time elapsed, a continuous dense image had moved to the layer of 60-80 meters jigging depth. A larger number of squid were caught by jigging machines set at a lowest depth of 90 meters, when it compared with machines set at a 60 meters. However, Catch increased around 60 meters jigging depth, when fishing lamps output were switched to 24 kW halogen lights:.The underwater illumination, under the each light power of fishing lamps of squid jigging boat was continuously measured with an underwater illuminometer. Values of the underwater illumination, when schools were distributed from 60 to 80 meters, ranged from $3.0\times10^{-2}lx\;to\;3.4\times10^{-3}lx$ in average at $80\~360$ kW fishing lamps output of squid jigging boat.

오징어 채낚기 어선의 집어등을 점등한 상태에서의 오징어 군을 어군 탐지기에 의해 관찰하고, 어선 양현의 조획기에 설치된 낚시의 도달 심도를 달리하여 광원 출력 조건별로 조획 시험을 실시하여 어군의 분포 심도를 추정하는 한편 수심별 수중 조도를 측정함으로써 어군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는 조획 심도에서의 광 환경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집어등 점등시 어군 탐지기에 나타난 어군은 낚시 어구 주위를 중심으로 수심 50m까지의 얕은 곳에서 높은 밀도의 반응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군 층은 침하하여 수심 $60\~80m$사이에서 안정되었다. 어선의 각 현별 낚시 최선단의 도달 심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조획량은 심도를 90m로 설정한 현측이 60m로 설정한 현보다 많았으나, 조획이 적어진 해뜰 무렵에 광원 출력을 할로겐등 24kW로 절환하여 조업한 후에는 60m 충에서 조획 증가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어군 탐지기와 조획 시험에서 추정된 오징어의 중요한 조획층으로 사료되는 수심 $60\~80m$에서의 수중 조도는 각 광원 출력별 평균 $3.0\times10^{-2}\sim\;3.4\times10^{-2}lx$의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