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2. Chemic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2. 우렁쉥이 껍질 중 부분정제한 황산다당의 화학적 특성

  • HONG Byeong-Il (Department of Food Marketing, Chonan College of Foreign Studies) ;
  • JUNG Byung-Ch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UNG Woo-Jin (Department of Food Marketing, Chonan College of Foreign Studies) ;
  • RUCK Ji-Hee (Department of Food Marketing, Chonan College of Foreign Studies) ;
  • CHOI Byeong-Dae (Division of Marine Bio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홍병일 (천안외국어대학 식품유통과) ;
  • 정병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정우진 (천안외국어대학 식품유통과) ;
  • 육지희 (천안외국어대학 식품유통과) ;
  • 최병대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이강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Component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scidian tunic were measuerd by gel filtration, electrophoresis and chemical analyses. The sulfated polysaccharides consisted in sulfate, protein, uronic acid and amino sugars. Hexosamines were composed of arabinose, xylose, glucose, galactose, glucuronic acid, N-acetylgalactosamine and N-acetylglucosamine by gas chromatography analysis. The galactose was predominant hexose after autoclave and nutrase digestion follow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on Sephadex G-100 and G-25. FT-IR spectra of isol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tunic and standard chondroitin sulfates have similar functional groups of the type of vibration and frequency. Molecular weight of isolated polysaccharides by autoclave represented more than 40 kDa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But the neutrase treatment group divided into three band. The highest molecular band group was shown more than 100 kDa, and the two low molecular band group were shown about 22 kDa and 5 kDa, respectively, compare to standard materials.

우렁쉥이 껍질에서 분리한 황산다당을 부분정제하여 몇 가지 화학조성과 전기영동을 하였다. 추출된 황산다당의 화학적 조성은 sulfate, uronic acid, protein, chondroitin sulfate, amino sugar, hexosamine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전기영동결과 autoclave 처리에 의해 추출된 조다당류는 폭넓은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나, neutrase 처리구는 세 개의 band로 구분되었다. Autocalve 처리구의 분자량은 약 40,000 정도로 추정되며, neutrase 처리구의 경우 고분자 band는 100,000 이상, 두 개의 저분자 band 중 하나는 약 22,000 정도, 또 하나의 band는 약 5,00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온교환수지 및 겔 여과하여 얻은 전당획분의 화학적 조성은 부분정제 전과 거의 유사하였다. Sephadex G-25로 gel 여과한 시료의 조성당은 arabinose, xylose 및 glucose는 흔적량 정도이었으나 galactose는 $71.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N-acetylgalactosamine 함량이 $14.5\%$ 정도이었고, D-glucuronic acid가 $6.3\%$ 정도 검출되었다. Sephadex G-100과 G-100-25로 정제한 당의 전기영 동 패턴은 거의 유사하게 단일 band의 양상이나 G-25 처리구가 다소 좁은 band를 나타내었다. 부분정제한 황산다당과 표준품인 chondroitin sulfates의 FT-IR spectrometer 분석 결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황산기나 에스테르 등 몇몇 중요한 원자단의 신축 진동수가 IR spectrum의 지문영역 ($500\sim700cm^{-1}$$)에서 나타났다. 황산기 중의 S=O 신축진동이 $1,240cm^{-1}$에서, C-O-S신축진동의 경우 수평향배는 $820cm^{-1}$에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