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plan of tables of deference for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4th edition, based on the study on those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21st edition. It suggests two tables for the Auxiliary Tables, one for standard subdivisions and one for subdivisions for literature. Twenty-two tables are suggested for the Schedule of ten main classes.
이 연구는 복합주제를 합성할 수 없는 문헌에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분류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분류표에 설정되는 우선순위(reference order)를 한국십진분류법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실제 분류항목 대상으로는 조기 표에서 \circled1 표준구분, \circled2 문학형식구분 두 곳, 본표에서는 총류의 014-019 서목, 목록, 철학류의 \circled1 180 심리학, \circled2 182 차이심리학과 183 발달심리학, 종교류의 230 기독교, 사회 과학류의 \circled1 320 경제학, \circled2 325.9 회계학, \circled3 326.1 상업, \circled4 326.2 무역, \circled5 364.4 범죄학, \circled6 336 노동 문제, \circled7 338 사회복지, \circled8 339 사회단체, \circled9 370 교육학, \circled10 379 특수교육, 순수과학류의 \circled1 475 미생물학, \circled2 481 일반식물학, \circled2 491 일반동물학, 기술과학류의 \circled1 512.8 간호학, \circled2 539.7 도시계획, \circled3 594.5 요리와 594.6 건강을 위한 계층별 요리, \circled4 598.1 육아 일반, 예술류의 650 회화 등 22개를 포함해 모두 24개의 우선순위표(안)을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