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the Ridge Area in the Cheongoksan, the Baekdudaegan

  • 발행 : 2002.03.01

초록

백두대간 중 청옥산 능선부주변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35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모두 신갈나무 우점종인 가운데 부 수종으로 군락 I은 물푸레나무. 군락 II는 당단풍, 군락 III은 미역줄나무, 군락 IV는 철쭉꽃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청옥산 능선부 지역의 신갈나무의 임령은 약 30~150년 이상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출현종수는 6.5$\pm$1.8종, 평균출현개체수는 68.3$\pm$39.9주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청옥산 능선부의 신갈나무림은 노령임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of forest in the Cheongoksan and near the ridge area, the Baekdudaegan, thirty-five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y was divined by four groups of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I).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II). Q. mongolica-Tripterygium regelii(III), and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IV). The structure of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importance value by layer. The surve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results of annual r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age of forest in the Cheongoksan was about 30~150 years old, 2) number of the average species was 6.5$\pm$1.8 and number of average individuals was 68.3$\pm$39.9 per a plot(100$m^2$).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anticipated that Q. mongolica stand will be old-growth forest because they do not have competitor species and a specific ridge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청 (1991) 한국기후표 제2권 - 월별평년값(1961-1990). 기상청 ,418쪽
  2.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1(1): 1-23
  3.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602쪽
  4. 서재철(1999) 백두대간의 환경실태와 문제점. 백두대간의 개념 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23-53쪽
  5. 이경재. 조재창, 이봉수. 이도석(1990) 광릉삼림의 군집구조 ( I ):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소리봉지역의 식생분석. 한국임학회지 79:173-186
  6.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 이윤원(1994) 덕유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7(2): 135-154
  7. 이경재. 조재창, 최영철(1996) 오대산국립공원 상원사-비로봉지역 노령임분의 군집구조. 환경생태학회지 9(2): 166-181
  8. 임덕순(1999) 백두대간식 산맥표기에 대한 역사 ·지리적 고찰. 백두대간의 개념 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 1-22쪽
  9. 조재창(1994) 울진군 송광리지역 소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양상과 산불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송현. 이경재, 김종엽(1998) 울릉도 성인봉지역의 해발고별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2(3): 290-296
  11. 최송현, 조현서(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남매탑구간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환경생태학회지 14(4):252-267
  12. Curtis, J. T. and R. P. Mc1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3. Hill, M. O.(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14. Hill, M. 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15. Moir, W. H.(1992) Ecological concepts in old-growth forest definition, In: Proceeding Old-Growth Forests in the Southwest and Rocky Mountain Regions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16. Oliver, C. D. and B. C. Larson(1990) Forest stand dynamics. McGraw-Hill, 467pp
  17.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