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Macrozoobenthos at the Intensive fish Fanning Ground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 정래홍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임현식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김성수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박종수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 전경암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이영식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이재성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귀영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고우진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e fish farming using net cages has been developed in many semi-closed bay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or the last two decades. The intensive cage cultures of fishes generate considerable amounts of organic waste in the form of uneaten food and faec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ish farming activities we collected the benthic macrofauna near the fish farm area located in Wolho Islet of Gamak Bay and in Haklim Island of Tongyeong in November 1998.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showed dramatic changes in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and faunal abundance in the region of the fish farm. These changes were clearly observed even at a distance of up to 30 m from the fish farming cage area. Within 5 m from the cage, there was a zone with low species diversity and highest density, dominated by opportunistic polychaete worm, Capitella capitata. By a distance of 15-30 m, this zone presents highest species number and higher density.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fish farm area was highly enriched with organic materials, and implied that the fish farm industry and adjacent benthic ecosystem in semi-closed bay will be seriously damaged by self produced organic wastes in the near future.

가두리를 이용한 집약적 어류양식은 지난 20년 동안 남해안의 만 내에서 크게 활성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집약적 가두리 양식은 잉여사료와 어류의 배설물과 갊은 형태로 많은 양의 유기물을 발생시킨다. 본 조사는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인 가막만의 월호도와 통영의 학림해역에서 가두리 양식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1월에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가두리 양식장 인접지역에서 저서동물은 종 수. 밀도, 다양도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런 변화는 가두리로부터 30m 이내에서 나타났다. 가두리로부터 5m 이내에서 낮은 다양도와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다 15~30 m 지점에서는 높은 종 수와 밀도를, 그리고 가두리가 설치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높은 다양도를 보이는 정상적인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두리로부터 0~5m 지점은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부영양화 되었으며, 15~30m지점은 부영양화 상태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두리 양식장은 다른 형태의 유기물 오염과 유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 폐쇄적인 만에서 가두리 양식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에 의한 자가오염은 해양 저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水處理技術 v.8 no.12 多毛類 Dorvilleidaeの分布と有機的水質汚濁との關係 北森良之介
  2.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동식 가두리 양식장의 이동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고우진
  3. 한국수산학회지 v.33 no.1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 박홍식;최진우;이형곤
  4. 한국해양학회지 v.30 no.4 가막만의 저서다모류 군집 신현출
  5. 한국해양학회지 v.25 no.4 광양만의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6. 한국해양학회지 v.28 no.4 삼천포시 근해역의 다모류군집 신현출;고철환
  7. 한국해양학회지 v.27 no.1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신현출;강영철;최진우
  8.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2 no.2 남해안 통영지역 가두리 양식장 해수 퇴적물 경계면에서의 chemical fluxes 심정희;강영철;최진우
  9. 인하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연안해역 개발에 따른 해양 저서생태계의 장기변동 연구 정래홍
  10. 한국수산학회지 v.15 no.1 진해만 폐류양식장의 저질에 관한 연구 조창환;양한섭;박경양
  11.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진해만의 저서동물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임현식
  12. 한국수산학회지 v.31 no.3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 동물 군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박경양
  13.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4 no.1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 저질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박홍식;최진우;제종길
  14. 해양연구 v.13 no.2 여자만에서의 여름철 저서동물의 분포 임현식;제종길;최진우;이재학
  15. 한국수산학회지 v.34 no.3 남해안 소라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 동물 분포 임현식;최진우
  16. 한국수산학회지 v.25 no.2 진해만 양식장 밀집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최진우;제종길;이재학
  17. 한국수산학회지 v.30 no.2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2. 우점종의 분포 임현식;홍재상
  18. 자연보존 v.88 인천 북항 주변해역의 해양저서동물상 홍재상;서인수;유재원;정래홍
  19. 한국수산학회지 v.30 no.3 시화방조제의 건설은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홍재상;정래홍;서인수;윤건탁;최병미;유재원
  20. Aquaculture and the environment, European Aquaculture Society Special no.16 Impacts of pollution from aquaculture in six Nordic counties. Release of nutrients, effects, and waste treatment Braaten, B.;De Pauw, N;J. Joyce
  21. Mar. Pollut. Bull. v.1 Pollution by sewage in Marseilles Bellan, C. https://doi.org/10.1016/0025-326X(70)90124-4
  22. J. Mar. Biol. Ecol. v.109 The effect of salmon farming on the benthos of a Scottish sea loch Brown, J.R.;R.J. Howen;D.S. McLusky
  23. Mar. Bull. v.28 no.5 Efficiency of the decompositon of organic matter, loaded on the sediment, as a result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Capotella sp.1. Chareonpaich, C.;H. Tsutsumi;S. Montani https://doi.org/10.1016/0025-326X(94)90157-0
  24. Bull. Korean Fish. Soc. v.15 no.3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Cho, H.C.;K.Y. Park;H.S. Yang;J.S. Hong
  25. J. Fish. Sci. Tech. v.1 no.2 Water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shellfish farms of the western part of Jinhae Bay Choi, H.G.;W.C. Lee;P.J. Kim;P.Y. Lee
  26.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v.19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Choi, J.W.;C.H. Koh
  27. Oeeanol. Acta. v.20 no.3 Seagrass regression caused by fish cultures in Fornells Bya(Menorca, Western Mediterranean) Delgado, O.;A, Grau;S. Pou;F. Riera;C. Massuti;M. Zabala;E. Ballerteros
  28. Oceanogr. Mar. Biol. Ann. Rev. v.23 Diversity and structure in aquatic ecosystems Frontier, S.
  29. Oceanogr. Mar. Biol. Ann. Rev. v.25 The ecological impact of salmonid farming in coastal waters: a review Gowen, R.J.;N.B. Bradbury
  30. Mar. Ecol. Prog. Ser. v.61 Chemical fluxes and mass balances in a marine fish cage farm.Ⅰ. Carbon Hall, Per O.J.;L.G. Anderson;O. Holby;S. Kollberg;M.O. Samuelson https://doi.org/10.3354/meps06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