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inned Apple, Pear and Peach

솎은 과실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 Jung, Gi-Tai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Ju, In-Ok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Ryu, Jeong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oi, Joung-Sik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oi, Yeong-Geun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nned fruits, apple, pear and peach were investigated into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n proximate compositions,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of thinned fruits were higher than those of ripe fruits, showing lower carbohydrate in thinned fruits. The contents of inorganic substance were Ca, Mg, P, Na, K and B in order. On heavy metals, As, Cd, Cr and Hg were not detected and Ge, Mo, Ni and Pb were trace. Organic acid in thinned apple and peach were detected as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but thinned pear did not contain citric acid. Free sugars in thinned pear and peach were composed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but sucrose was not detected in thinned apple. Contents of insoluble dietary fiber in thinned fruits were higher than soluble dietary fiber. The thinned apple extracts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thinned apple and pear extracts were 71∼80 e/o and 61∼63% at pH 1.2,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inned pear extracts was 61.0∼89.4 %, however peach extinct showed no activity.

솎은 과실의 일반성분은 완숙과실 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함량이 높았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낮았다. 무기물 함량은 Ca> Mg> P> Na> K> B 순이었다. 중금속 중 As, Cd, Cr, Hg는 검출되지 않았고 Ge, Mo, Ni, Pb 등은 극 미량이었다.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나 솎은 배는 citr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등이 검출되었으나 솎은 사과는 sucrose 가 검출되지 않았다. 식이섬유 함량은 불용성 식이섬유가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높았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사과 추출액이 RC$_{50}$ 81.2~85.2 ${\mu}\ell$/mL로 가장 활성이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 pH 1.2에서 솎은 사과와 배 추출액이 각각 80%와 63%로 우수한 효과가 있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배 추출액이 61.0~89.4%로 가장 높았다.다.

Keywords

References

  1. 최경주, 정순주 (2001) 호남지역 원예산업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원예학회 호남지부 창립기념 세미나 요약집, 105-111
  2. Hong, C., Holtz B.A., Morgan D.P., Michailides T.J. (1997) Significance of thinned fruit as a source of the secondary inoculum of Monilinia fructicola in California nectarine orchards. Plant Disease, 81, 519-524 https://doi.org/10.1094/PDIS.1997.81.5.519
  3. 박용곤 (2000) 사과 미숙과의 활용도 증진 연구. 현장애로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보고서
  4. 김영찬, 정신교 (1998) 사과의 낙과 및 적과로부터 분리한 APE(Apple Polyphenol Extract)의 기능. 한국식품과학회 제61차 학술발표회 초록집, Seoul, Korea
  5. 이정준, 김창식, 김성훈, 허철성, 백영진 (1999) 열처리 조건에 따른 애사과의 polyphenol 함량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47-152
  6. 윤석영, 김성훈, 정해림, 이정준, 허철성, 백영진 (2000) 애사과 추출물의 충치억제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2, 168-173
  7. 강경진, 김장현, 신광순 (1999) 미숙과실의 보체계 활성화능의 검토 및 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제62차 학술발표회 초록집, Seoul, Korea
  8. AOAC (1995)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Chemists, Washinton, D.C.
  9. 김태랑, 황혜정, 윤광로 (1996) 한국산 사과와 사과주스의 무기질 함량. 한국식품과학회지, 28, 90-98
  10. 최재수, 이지흔, 박해진, 양한숙, 문숙임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diana. 한국생약학회지, 24, 299-302
  11. 김선봉, 이동호, 염동민, 박진우, 도정룡, 박영호(1988) Glucose-아미노산계 Maillard 반응생성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0, 453
  12. 정승원, 이남경, 김석중, 한 대석 (1995)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식물체의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27, 891-896
  13. 정승원, 한대석, 김석중, 전문진 (1996) 버섯 배지를 이용한 tyrosinase 저해제 발효. 한국응용미생물학회, 24, 227- 233
  14. 정금주 (2001) 식품성분분석표. 농촌진흥청, Suwon, Korea. p168-171
  15. 박범기, 이태기, 김외경, 도정룡, 여생규, 박영호, 김선봉(1995) 결명자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인자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7, 124-128
  16. 김동수, 안방원, 염동민, 이동호, 박용호, 김선봉 (1987) 천연식품 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 생성인자 분해작용 1. 야채 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 작용, 한국수산학회지, 20, 463-468
  17. 김선봉, 안방원, 염동민, 이동호, 박용호, 김동수 (1987) 천연식품 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 생성인자 분해작용 2. 해조 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 작용, 한국수산학회지. 20, 469-473
  18. Satjawatcharaphong, C., Rymal, K.S., Dozierjr, W.A. and Smith, R.C. (1983) Polyphenol oxidase system in Red Delicious apple. J. Food Sci. 48, 1879-1881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3.tb0511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