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에 대한 인식과 생활습관의 차이에 관한 조사

A Study on Awareness and Knowledge of Obesity, Life Style,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High School Students

  • 김미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광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im, Mi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Kwang Ha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 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투고 : 2002.07.23
  • 심사 : 2002.09.19
  • 발행 : 2002.12.15

초록

목 적: 남녀 고등학생들의 비만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 그리고 비만에 대한 지식 정도와 실제 생활과의 연관관계 등을 조사하여 비만의 예방과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각각 882명, 668명 총 1,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1514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무기명으로, 본인이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 성별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85 백분위수 이하를 1군(정상 체중군), 85-95 백분위수를 2군(비만 위험군), 95 백분위수 이상을 3군(비만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비만에 대한 인식도 : 비만에 대한 인식정도는 남학생의 경우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1군에서 30.6%, 2군에서 37.4%, 3군에서 48.4%로 정상 체중군보다 비만군에서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 여학생에서는 비만을 매우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1군에서 8%, 2군에서 15.8%, 3군에서 14.3%이었고,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1군에서 44.4%, 2군에서 55.3%, 3군에서 57.1%이었고, 각 군간의 비만에 대한 인식정도는 차이가 없었다(P=0.332). 2) 비만에 대한 지식 : 비만 지식에 대한 점수는 1군에서 남학생이 9.68, 여학생이 10.42이었으며, 2군에서는 남학생이 10.06, 여학생이 11.38이었으며, 3군에서는 남학생이 10.11, 여학생이 10.57이었다. 각 군간의 비만에 대한 지식은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건강한 식습관과 비만에 대한 지식과의 상관관계 : 건전한 식습관과 비만에 대한 지식과의 상관관계는 남, 여학생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규칙적인 운동 습관 : 남학생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1군, 2군, 3군에서 각각 38.7%, 36.7%, 34.9%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고(P=0.795), 여학생 역시 각각 14.5%, 12.8%, 30.8%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5) 규칙적인 운동 유무와 비만에 대한 지식과의 관련성 : 남학생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9.98점,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9.64점이었고, 여학생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10.73점,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10.50점으로 규칙적인 운동 유무와 비만에 대한 지식 정도는 남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비록 일부 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조사이나 고등학생들의 비만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운동과 식습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의의가 있다. 고등학생들이 비만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나, 정상 체중 학생과 비만 학생사이에 비만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없었으며, 비만에 대한 지식정도와 건강한 식습관이나 규칙적인 운동의 유무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obesity awareness and to help to prevent and to treat obesit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obesity and life style. Methods : Of the students who were surveyed, 1514 answered seriously and were accep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questionaire was anonymous and was filled in by the students themselves. Body mass index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ith 85 percentiles or lower as group one, 86-94 percentiles as group two, and 95 percentiles or higher as group three. Results : Among the boys, level of obesity-awar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P<0.01)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weight group. Among the gir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obesity-awareness among the groups(P=0.332). The knowledge of obesity between the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ither boys or girl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eating habits and knowledge of obes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ther boys or gir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abit of regular exercise and the knowledge level of obesity in either boys or girls. Conclusion : Although this was a localized study and the students we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obesity to a certain ext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knowledge of obesity between normal-weight students and obese students. Also,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obesity and healthy eating habits or the presence/absence of regular exerci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