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생아의 폐 표면 활성제 단백-A1 (Human Surfactant Protein-A1) 유전자 대립형질의 분포와 빈도

Allel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Human Surfactant Protein-A1 in Korean Neonates

  • 이경신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영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석정수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과학과) ;
  • 고정호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과학과) ;
  • 유욱준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과학과) ;
  • 이인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오명호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배종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Kyung Sh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You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Suk, Jung Su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o, Jung Ho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Yoo, Ook Jo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In Kyu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Oh, Myu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Bae, Chong W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02.08.09
  • 심사 : 2002.09.17
  • 발행 : 2002.12.15

초록

목 적 : RDS 발생과 BPD로의 이행을 예측 할 수 있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새로운 지표로서 사용 될 수 있는 SP-A1의 유전자 대립형질의 한국분포 및 빈도를 밝히고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대립형질을 발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SP-A1 유전자의 대립 형질을 위해 시발체(primer) 765/787, 767/768, 788/21를 이용하여 증폭 시킨 후 19, 50, 62, 133, 219 위치의 nucleotide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위치에 맞는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를 이용하여 (PCR-cRFLP-based methodology) 자른 후 전기 영동 하여 염기서열의 차이를 알아냈다. 결 과 : 아미노산 염기 서열의 차이에 의하여, 6A, $6A^2$, $6A^3$, $6A^4$, $6A^8$, $6A^9$, $6A^{10}$, $6A^{11}$, $6A^{12}$, $6A^{13}$, $6A^{14}$, $6A^{15}$, $6A^{16}$, $6A^{17}$, $6A^{18}$, $6A^{20}$ 등의 16개의 대립형질이 발견되었으며, SP-A1 중 $6A^3$ 45%, $6A^2$ 21%의 분포를 보였고, $6A^4$, $6A^8$, $6A^{14}$도 1% 이상의 분포를 보였다. 이외에도 6A, $6A^9$, $6A^{10}$, $6A^{11}$, $6A^{12}$, $6A^{13}$, $6A^{15}$, $6A^{16}$, $6A^{17}$, $6A^{18}$, $6A^{20}$의 대립형질이 6%의 분포를 보였으며, SP-A1의 Genotype은 $6A^26A^3$, $6A^36A^4$, $6A^36A^3$, $6A^26A^4$ 등이 88% 이상의 빈도를 보였다. 결 론 : RDS에 대해 보호체(protector)로 작용하는 $6A^3$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보아 실질적으로도 우리나라에서 RDS의 발생률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많은 빈도를 보이는 $6A^3$는 다른 대립형질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 할 때 유전자 발현에 많은 억제를 보여 숙주 반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SP-A의 혈청 내 농도가 적을 것으로 추측되어, 감염에 노출 될 위험이 많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있어야겠다.

Purpose : We evaluated allele frequencies and distribution of surfactant protein A1(SP-A1) in Korean neonates in order to estimate prevalence of RDS to find out new SP-A alleles, and to establish new steroid therapy. Methods :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100 neonates and served as a template in PCR for genotype analysis. SP-A gene-specific amplications and gene-specific allele determinations were performed using PCR-RFLP methods. Results : The distribution for the alleles of the SP-A1 gene in the study population were 6A, $6A^2$, $6A^3$, $6A^4$, $6A^8$, $6A^9$, $6A^{10}$, $6A^{11}$, $6A^{12}$, $6A^{13}$, $6A^{14}$, $6A^{15}$, $6A^{16}$, $6A^{17}$, $6A^{18}$, $6A^{20}$. The specific frequencies for the alleles of the SP-A1 gene in the study population were : $6A^2=21%$, $6A^3=45%$, $6A^4=11%$, $6A^8=9%$, $6A^{14}=8%$. Conclusion : The frequency of $6A^3$ was higher than the other SP-A1 alleles in Korean neonat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revalence of RDS in Korea may be low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However, this finding also suggests that Korean neonates have a high risk of infe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