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정상 체중아와 저출생 체중아의 재입원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 Normal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Discharged from NICU

  • Min, Sae Ah (Department of Pediatrics,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Jeon, Myung Won (Department of Pediatrics,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Yu, Sun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Lee, Oh 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투고 : 2002.07.15
  • 심사 : 2002.09.25
  • 발행 : 2002.12.15

초록

목 적 : 출생 후 첫 1년은 유병율과 사망율이 높은 시기이고, 특히 저출생 체중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미숙아나 저출생 체중아에 대한 추적관찰이나 예후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왔었다. 그러나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의 약 반 수정도가 정상 체중아임에도 불구하고 정상 체중아에 대한 추적관찰은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한 정상 체중아와 저출생 체중아의 생후 1년 동안의 재입원율과 재입원 원인을 알아보고 재입원에 영향을 미친 주산기 인자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전주 예수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 후 생존하여 퇴원한 2,500 gm 이하의 저출생 체중아 131명과 2,501 gm 이상인 정상 체중아 302명을 대상으로 입원병력지 및 외래 추적관찰 기록을 검토하였고, 또한 전화를 통하여 정보를 얻었다. 본원 입원 중 다른 병원으로 전원한 경우는 포함하지 않았고 또한 입원 중 사망한 환자도 포함하지 않았다.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 다시 1,500 gm 미만군, 1,500-1,999 gm군, 2,000-2,500 gm 군으로 세분하였고, 정상 체중아군과 같이 재입원 빈도와 재입원 원인 질환, 재입원 당시의 연령을 비교하였다. 또한 저출생 체중아와 정상 체중아를 재입원군과 비입원군으로 나누어 아기의 성별, 재태주령,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 및 기간, 뇌실 내 출혈, 패혈증,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의 입원기간, 부당 경량아, 선천성 기형, 산모의 연령과 교육 수준 등 여러 주산기 인자들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정상 체중아의 21.2%(64/302)가 총 76회의 재입원(1.19회/명)을 하였고, 저출생 체중아는 23.0%(30/131)가 총 37회(1.23회/명)의 재입원을 하였으며, 두 군간의 재입원율이나 재입원 횟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재입원 원인으로 호흡기계 질환이 저출생 체중아군과 정상 체중아에서 각각 36.0%, 32.1%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 원인으로 저출생 체중아에서는 위장관계 질환(26.0%), 요로감염(6.0%), 외과적 문제(6.0%), 심장질환(6.0%) 등이 있었고, 정상 체중아에서는 위장관계 질환(26.2%), 요로감염(11.9%), 외과적 문제(10.7%), 심장질환(7.1%), 선천성/발달장애(1.2%) 등의 순이었다. 3) 재입원시의 연령은 저출생 체중아와 정상 체중아 모두 1-3개월 사이에서 가장 많은 빈도(35.1%, 31.6%)를 차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산모의 연령과 교육 수준은 저출생 체중아와 정상 체중아 모두에서 재입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5) NICU에서 퇴원한 생존 환아들에서 재입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산기 인자들에는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 6일 이상의 인공호흡기 치료, 선천성 기형의 존재 등이 있었고, 재태 연령, 출생체중, 성별, 출생시 부당 경량아, 뇌실 내 출혈, 패혈증, 신생아 집중 치료실 입원 기간 등은 의미있는 관계가 없었다. 정상 체중아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저출생 체중아에서는 재입원과 의의있게 연관된 주산기 인자는 없었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생존하여 퇴원한 환아들에서 정상 체중아나 저출생 체중아 모두 생후 1년동안 비슷한 재입원율을 보였으며, 정상 체중아에서는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 6일 이상의 인공호흡기 치료, 선천성 기형의 존재 등이 있었으나 저출생 체중아에서는 의의있게 연관된 주산기 인자가 없었다. 따라서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는 정상 체중아들도 퇴원 후 추적관찰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lthough the short- and long-term outcomes of low birth weight(LBW)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survivor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much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normal birth weight(NBW) infants(greater than 2,500 gm) who require NICU car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neonatal hospitalizations and one year health status of 302 NBW and 131 LBW admissions to our NICU. Information on the neonatal hospitalization was obtained from a review of medical records. Postdischarge health status was collected by using telephone surveys and medical records. Results : After initial discharge, 21.2% of the NBW infants and 23% of the LBW infants required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asons for rehospitalization of the NBW infants included respiratory disorders (32.1%), G-I problems(26.2%), genitourinary problems(11.9%), surgery(10.7%), cardiac problems(7.1%), and congenital/developmental problems(1.2%). For the LBW infants, the order of frequency was the same, with the percentages slightly different. Neonatal risk factors related to the rehospitalization of the NBW infants included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genital anomaly. But no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of neonatal risk factors with rehospitalization of LBW infants was found. Conclusion : Low and normal birthweight NICU survivors were rehospitalized at similar rates. The most common cause of rehospitalization was respiratory problems. Neonatal risk factors related to rehospitalization of NBW infants were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genital anomaly. However, no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of neonatal risk factors with rehospitalization of LBW infants was found. The data suggests that NBW infant survivors, as well as LBW infant NICU survivors, require close follow 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