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성 폐기물 및 폐수로부터 2단계 생물학적 수소생산 및 통합화 시스템

Two-stage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form Organic Wastes and Waste-waters and Its Integrated System

  • 김미선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바이오메스 연구원) ;
  • 윤영수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바이오메스 연구원)
  • Kim, Mi-Sun (Biomas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Yoon, Y.S. (Biomas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발행 : 2002.03.30

초록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수소생산 통합화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합화 시스템은 유기성폐기물의 전처리, 2단계 혐기발효 및 광합성 배양으로 구성된 생물학적 수소생산 공정, 초임계수 가스화 공정, 생산된 가스의 저장, 분리 및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유기성 폐자원은 식품공장 폐수, 과일폐기물, 하수슬러지이며, 전처리는 폐기물에 따라 열처리 및 물리적 처리를 하였으며, 전처리된 시료는 생물학적 수소생산 공정에 직접 적용되었다. Clostridium butyricum 및 메탄 생성조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중의 미생물 복합체는 수소생산 혐기 발효공정에 사용되었으며, 광합성 수소생산 미생물인 홍색 비유황 세균은 광합성 배양에 사용되었다. 생물학적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슬러지는 초임계수 가스화 공정으로 수소를 발생하였으며, 슬러지 중의 COD를 저하시켰다. 생물학적 공정 및 초임계수 가스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는 가스탱크에 가입상태로 저장한 후, 95%순도로 분리하였으며, 정제된 수소는 연료전지에 연결하여 전력 생산을 하였다.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Ministry of Commrece, Industry and Energy

참고문헌

  1. H. Yokoi, A. Saitsu, H. Uchida, J.Hirose, S. Hayashi, Y. Takasaki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fromsweet potato starch residue", J.Bioscience & Bioengineering, Vol. 91,No. 1, 2001, pp. 58-63. https://doi.org/10.1263/jbb.91.58
  2. H. Zhu, T. Suzuki, A. A. Tsygankov, Y.Asada, J. Miyake, Intl. J. Hydrogen Energy, Vol. 24, 1999, PP. 305-310. https://doi.org/10.1016/S0360-3199(98)00081-0
  3. S. P. Singh, S. P. Singh, S. C.Sravastava, and K. D. Pandey"Hydrogen production byRhodospeudomonas at the expense ofvegetable starch sugarcane juice andwhey", Int. J. Hydrogen Energy, Vol.19, No. 5, 1994, PP. 437-440. https://doi.org/10.1016/0360-3199(94)90020-5
  4. X. Xu, Y. Matsumura, J. Stenberg, andM. J. Antal, Jr., Ind. Eng. Chem. Res.,Vol. 35, 1996, p. 2522. https://doi.org/10.1021/ie950672b
  5.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water and wastewater, 16th ed., ADHA,AWWA and WPCF., 1995
  6. M. S. Kim, T. J. Lee, Y. S. Yoon, I. G.Lee, and K. W. Moon, Biohydrogen II,2001
  7. J. Miyake, T. Matsunaga, A. S. Pietro(Ed.), Pergamon, PP. 263-272.
  8. M. Bae and J. K. Lee. : "A study onphysiological condition for hydrogenevolution by Rhodopseudomonas sphae roides", K-7. Kor. J. Microbiol. Vol. 21,No. 3, 1983, pp. 109-114.
  9. M. Minami, T. Uechi, H. Kimura, T.Nishishiro, H. Kunaki, K. Sano, and T.Kawasugi Hydrogen Energy Conference,Stutgart, Germany, Vol. 3. pp.2583-2588.
  10. M. Heyndrix, P. De Vos, P, B. Thibau,P. Stevens, And Jl De Ley : "Effect ofvarious external factors on thefermentative production of hydrogen gasfrom glucose by Clostridium butyhcumstrains in batch culture", System. Appl.Microbial. Vol. 9, 1987, pp. 163-168. https://doi.org/10.1016/S0723-2020(87)80072-3
  11. W. A. Wood : "Fermentation ofcarbohy-drates and related compounds.in the Bacteria", Gunsalus and Staniereds., 1961, PP. 59-150.
  12. Y. S. Yoon, H. K. Kim, H. Y. Ryu, I.G. Lee, and M. S. Kim : "Hydrogen gasproduction by fermentation from variouswastewater using Clostridium butyricumand Rhodopseudomonas sphaeroides", J.Korean Hydrogen Energy Society. Vol.11, No. 1, 2000, pp. 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