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Stripe Pattern Appeared in Apparel Design - Focusing o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

의상(衣裳) 디자인의 줄무늬(Stripe Pattern) 연구(硏究) - 20세기(世紀) 이후(以後) 서양(西洋) 여성(女性) 패션을 중심(中心)으로 -

  • Kim, Ju-E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Cho, Kyu-Hwa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김주은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조규화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ous types of stripes pattern and to review its' design expression by analysing stripe pattern and visual effect appeared i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As regards the visual effect of stripe pattern, on the basis of the stripe pattern's direction laid out, we made an investigation of it by classfying it into verticality, horizontality, slant line and mixture of them according to its' gap and thickness. Here are the 4 features of the stripe pattern appeared in modern fashions. The first, graphic variation based on diverse variation and r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between other motives is being onthe rise as a new expression. The second, colorful stripes of Missoni can be exanpled as the trend of diversification of color. The third, as regards the trend of mismatch in pattern, coordination through mismatch can produce experimental and post-modern image. The fourth, as for the expression of draping effect, we find that stripe pattern can maximaze visual effect through draping by inducing visual stimulus, as well as can express human body in a beautiful manner.

Keywords

References

  1. 조규화(편) (1995), 스트라이프 패턴, 『복식사전』,(서울: 경춘사), p. 305
  2. 두산세계대백과사전
  3. 조규화(ldfj)
  4. 이순구(1989), '날염과 자카드의 복합 문양에 관한 연구' 효성 여대 석사 학위 논문, p. 36
  5. 1학설: 기하학적 양식은 지구상 모든 것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했다. 2학설: 이 양식의 가장 단순하고 가장 중요한 미술적 문양은 그 맨 처음형을 편물과 직물의 기술에서 얻었다
  6. Helen L. Brockman(1965), 'The Theory of Fashion Design' , New York: John wiley & sons. p. 304
  7. Marilyn Revell DeLong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8. Marian L. Davis(1980). Visual design in dress, (New York: Prentice-Hall), p. 69
  9. 류정아, 임원자(1993). 의복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효과. '한국의류학회지' . Vol. 17, p. 475-490
  10. 복식의 시각 디자인 p.262
  11. 채금석(1994), '패션 디자인 실무' (서울 :교문사), p. 131
  12. 가재창(1993) '패션 디자인 2 발상 트레닝' , 정은출판사, p. 35
  13. Marian L. Davis(1980). Visual Design in Dress, (New York: Prentice-Hall), p. 69
  14. 소니아 드로네(Sonia Delaunay: 1885-1979) 러시아 출신의 프랑스 여류화가로 1910년 로베르드로네와 결혼하여 함께 색채에 의한 리드미컬한 추상을 추구하였다. 특히 직물·복식 디자인등 장식미술에 뛰어났으며, 대표작으로는 오르피즘적인'동시대조의 색채' 를 들 수 있다.(이재운(1989),'미술사전 III 인명편'. 서울: 한국미술연감사, p. 76)
  15. A. Cohen(1975). Sonia Delaunay(New York : Harry n Abrams), p. 61
  16. '최소 예술', '환원 예술', '후기 기하학적 구조', 'ABC Art'등 다양한 별칭으로도 유명한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 후반에 나타난 본질적 요소에 관심을 가지며, 엄격하고 비개성적이며 극단적인 간결성과 기계적인 엄밀성을 특징으로 하는 기하학적인 예술형태를 의미한다.(베이커, K(1993). '미니멀리즘', 김수기(역). 서울: 열화당)
  17. 옵·아트(Op·Art)는 옵티컬 아트(Optical Art)의 약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옵티컬(Optical)이란 비쥬얼(visual)의 전 단계로서 지각의 원인 또는 재료가 되는 표상을 말하며 보기 위하여 보는, 즉 단순한 망막자극을 통한 객관적인 지각반응의 단계이다. 따라서 옵아트는 순수하게 보는 것으로서의 미술, 즉 순수정신의 미술로서 단지 지각의 원소만을 제공함으로서 만족하려는 미술표현의 한 기법이며 패턴이나 반복의 효과를 통하여 관객에게 심리적인 반응을 유도시키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Cyril Barrett(1987). '옵아트' , 정미희(역). 서울: 미진사)
  18. 'Vogue' September, 1963. p. 172
  19. Georgina Howell(1979). In Vogue(London: Allen Lane Penguin Books Ltd), p. 284
  20. 팝아트(Pop Art)는 Popular Art(대중미술)의 준말로서 1960년대 미국에서 생긴 운동으로 본래 미술 모티프의 대상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일상적, 통속적인 것을 도입하여 예술적 통념에 구애받지 않는 미국적이고 전위적인 것을 말한다
  21. 베비스 힐리어(1983), 앞글, pp. 263-264
  22. 조말희(1998). 현대 패션에 사용된 텍스타일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199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Vol. 6(3), pp. 157-174
  23. 조규화(1996). '뉴 웨이브 패션: 1970년대 이후 서구패션을 중심으로」, 『이춘계 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의류학의 이론과 방법'.(서울: 일신사), pp. 194-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