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항내수질 개선을 위한 친환경 외곽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ly Friend Counter Facilities for Improvement of Harbor Water Quality

  • 김강민 ((주)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 및 해안개발 기술연구소) ;
  • 강석형 ((주)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 및 해안개발 기술연구소) ;
  • 유하상 ((주)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 및 해안개발 기술연구소) ;
  • 김상훈 ((주)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 및 해안개발 기술연구소)
  • Kim, Kang-Min (Seil Engineering Co., Ltd.,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
  • Kang, Suk-Hyong (Seil Engineering Co., Ltd.,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
  • Ryu, Ha-Sang (Seil Engineering Co., Ltd.,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
  • Kim, Sang-Hoon (Seil Engineering Co., Ltd.,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 발행 : 2003.06.01

초록

파랑에너지를 차단하고 항내 정온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외곽시설인 방파제는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항만을 폐쇄성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항내ㆍ외간의 해수교환은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항만개발의 최근 추세는 항내의 수질 보호와 친수성이 강조되어, 기존의 불투과성 방파제의 일부에 투과성으로 설계한 제체투과성 해수교환방파제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외해의 에너지가 항내로 전달되어 항내 오염물질의 희석률 증대와 함께 외해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오염이 심화된 항만(남해 동부해안에 위치한 삼천포 구항)에서 항내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육상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이나, 폐쇄성이 큰 항만의 경우, 외해와의 해수순환을 강화시켜야만 한다. 즉, 기존의 항만에서의 항내 수질개선을 위해서 외곽시설의 일부에 해수소통구를 두는 방법이 가장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내 오염이 심각한 항만을 대상으로 하여, 해수소통구를 통한 해수순환 양상을 수치계산을 통해 검토하고 수반되는 해수교환율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차분법으로 수치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해수소통구 도입에 따른 항내의 해수순환 및 해수교환율을 평가하였다.

Due to the impermeability of outer wall facilities such as Breakwaters which dissipates the wave energy and keeps harbor tranquility, the enclosed area of harbor becomes partially blocked and the water exchange can be reduced. Recent trends of port development protect water quality and emphasize Water-Front, so the method which enhances the circulation of harbor waters and the dilution of the water pollutants are studied. The best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s a remove of pollutant source on land, but an enclosed port must be enhanced the tidal exchange. For this end, the best improvement may be made a drain-route on the existing outer wall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numerical computations were carried out to predict the circulation of harbor waters and the tidal exchange through the drain-rout in the polluted harbor(Samchonpo-guhang) located at the east coast of South Sea. Computational models adopting FDM(Finite Difference Method) were used here and were already verified from the previous studies und ocean survey. As a result of this study, circulation and the tidal exchange at the harbor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drain-route were asse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마산지방해양수산청 (2001), 삼천포항 수치모형실험 보고서
  2. 장선덕, 이문옥, 김종규, 김종화, 류정로, 이종섭, 홍철훈(1999), 연안해양학
  3. 해양수산부 (1999), 해수교환방파제의 실용화 연구(I)
  4. 한국해양연구원(2001), 연안개발, 해양과학총서 제6권
  5. 金子安雄, 堀江毅, 村上和男(1975), 'ADI法による 潮流汅 染擴散の數値計算', 港灣技術術 硏究報告書 第14卷 第1號 pp.53-60
  6. 鞠承淇(1998), '潮汐殘差流の創造.制御に 閉銷性海 域の水質改善に關する硏究', 九州大學工學部建設都市工學科
  7. Awaji, T. (1982), 'Water Mixing in a Tidal Current and the Effect of Turbulence on Tidal Exchange through a Strait', J. Phys. Oceanogr., Vol. 12, pp. 501-514 https://doi.org/10.1175/1520-0485(1982)012<0501:WMIATC>2.0.CO;2
  8. Bolin, B. and H. Rohde(1973), 'A note on the concepts of age distribution and transit time in natural reservoirs', Tellus, Vol. 25, No. 1, pp. 58-62 https://doi.org/10.1111/j.2153-3490.1973.tb01594.x
  9. Coe, J. M., Roser, D. B(1996), 'Marine Debris, Source, Impact, and Solution', Spring, N. Y.
  10. Koutitas, C. G. (1982), 'Elements of computational hydraulics', Pentech Press
  11. Koutitas, C. G.(1988), 'Mathematical models in coastal engineering', Pentech Press
  12. Pugh, D. T.(1987), 'Tides, Surges and Mean Sea-Level', John Wiley & Sons Ltd.
  13. Fischer, H. B., Koh, R. C. Y., Imberger, J. and Brooks, N. H.(1979),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14. Kashiwai, M.(1984), 'The concept of tidal exchange and the tidal exchange ratio', J. Oceano. Soc. Japan, 40, pp. 135-147 https://doi.org/10.1007/BF02302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