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Method for Security Policy Model Based on Common Criteria

공통평가기준에 의한 보안정책모델 평가방법

  • 김상호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 임춘성 (연세대학교 컴퓨터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Security Policy Model is a structured representation using informal, semiformal or formal method of security policy to be enforced by TOE. It provides TOE to get an assurance to mitigate security flaws resulted from inconsistency between security functional requirements and functional specifications. Therefore, Security Policy Model has been required under an hish evaluation assurance level on an evaluation criteria such as ISO/IEC 15408(Common Criteria, CC).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valuation method for security policy model based on assurance requirements for security policy model in Common Criteria through an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researches and assurance requirements for security policy model.

보안정책모델은 평가대상제품(Target of Evaluation, TOE)의 보안정책을 비정형적, 준정형적, 또는 정형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한 것이다. 보안정책모델은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의 일관성 및 완전성을 제공함으로써 평가대상제품이 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 불명확성으로 인한 보안결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증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ISO/IEC 15408(공통평가기준. CC) 등 IT 제품 및 시스템의 보안성 평가기준의 고등급 평가에서 보안정책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정책모델의 개념과 관련 연구 및 공통평가기준의 보안정책모델 보증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보안정책모델 평가방법을 제시한다.

Keywords

Ⅰ.서론

IT 기술의 진전으로 인한 디지털화로 정보시스템의 안전한 운영은 국가, 기업의 생존 및 성공의 중요한 전략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공간에서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보안성은 정보시스템 구축과 함께 병행하여야 하는 기반 요소로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의 보안성은 정보시스템의 구축단계에서부터 제공할 보안기능을 고려하여 설계하는하여야 확보될 수 있다.山 일반적으로 설계하고자하는 시스템이 규모가 크고 복잡할 경우, 보안기능요구사항의 정확한 정의 및 정의한 보안기능의 정확한명세 여부를 증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정의 또는 명세 과정에서의 어}러, 누락 또는 모호함 등으로보안상의 문제를 야기하여 원하는 정보시스템의 보안기능 구현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보안정 책 모델은 평 가대 상제품(TOE, Target of Evaluation)의 보안정책을 구조적으로 표현하여 보안 기능요구사항 및 기능명세를 정확하게 명세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 보안 결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제품의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한다」倾 개발자는 보안 정책 모델을 활용하여 보안정책의 일관성을 점검할 수 있고, 보안 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 모순점이 없도록 보증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평가자는 제시한 보안정책모델 평가를 통하여 보안정책과 보안기능요구사항 및 기능명세 간의 일관성 및 완전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보시스템의 보안성 평가 기준인 미국의 TCSEC, '기 유럽의 ITSEC, P, 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 CC)"이에서는 고등급의 보증요구사항에서 보안정책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정보통신망 침입차단시스템 및 침입탐지시스템 평가 기준 回에서도 K5등급 이상 보증요구사항에서 보안정책 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보안정책모델에 대한 연구는 Bell-Lapadula Model, Biba 모델, Clark-Wilson 모델 등 접근통제 및무결성 기능 중심의 보안모델'跑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어왔다. 또한, 이러한 보안모델은 국방 등 주로정보보호수준이 강화된 영역에의 적용에 초점을 두어 개발되어 기업 등 민간분야에 사용을 목적으로하는 정보시스템에 이를 적용할 경우, 사용 또는 구현 환경에 따라 수정 . 보완하여 한다. 따라서 보안정책모델을 명세하는 일반화되고 구체적인 절차가 필요하며, 명세한 보안정책모델이 일관성 및 정확성을검증을 위한 평가방법이 요구된다.

공통평가기준囹 및 공통평가방법론(Common Criteria Evaluation Methodology, CEM)凹은 '보증요구사항및 평가항목에서 보안정책모델에 대하여 명시하고있으나, 개발자 및 평가자가 이를 적용하기 위한 절차 및 적용사례가 없어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보안정책모델에 대한 평가방법은 기존연구가 상대적으로 적고, 국내의 경우 보안정책모델을 적용한 제품개발 및 평가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며 국외의 경우이를 적용한 사례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자가 제품 개발 또는 평가 준비를 위하여 보안정책모델을 개발할 경우 활용할 수 있도록 공통평가기준에서 요구하는 보안정책모델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일반화된 보안정책모델 절차를 Orange Book(NCSC-TG-010)|10) 등을 참조하여 제시하고, 평가자가 고등급의 제품 평가 시 활용할 수 있도록 공통평가방법론冋 등을 참조하여 세부적인 보안모델 정책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보안정책모델 관련 주요 용어와 개발과정에서 보안정책모델의 의미 등을 정리한다. 제 3장에서는 보안정책모델 관련 기존 연구 및 TCSEC, ITSEC, CC 등 평가기준 요구사항을 비교 .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공통평가기준을 기반으로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보안모델 절차를 제시하고 공통평가방법론을 중심으로 보안정책모델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제 5장에서는제안한 내용을 정리하고, 활용방안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한다.

Ⅱ.보안정책모델 개요

일반적으로 '모델, 은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의 중요 사항을 단순화 또는 추상화하는 것으로 공학 분야에서는 복잡한 기능 또는 메커니즘을 명료하게 명세 또는 증명하고자 할 경우, 수학적 기법 등을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同 그리고, '보안정책'은 조직의 중요한 정보를 관리, 보호, 분배하는 절차와 규칙, 법의 집합此可이고 '보안정책모델'은 제품 또는 시스템에서 보안정책을 비정형적, 준정형적, 정형적인방법으로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정형적 보안정책모델의 예로 Bell-Lapadula Model 등이 있*' *다. *1 보안정책 및 보안정책모델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공통평가기준의 보증요구사항倒에서는 보안정책(TSP, TOE Security policy)을 TOE를 통해 보호하고자하는 정보 또는 자산을 TOE 내에서 관리, 보호, 분배하는 규칙이 집합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보안정책모델(TOE Security Policy Model, TSPM)을 TOE에서 수행되는 보안정책을 구조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정의하고 있다. TCSEC에서는 보안정책모델의 요구사항을 MAC(Mandatory Access Control), 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둥 접근통제정책을 중심으로주체와 객체 및 이들간의 연산을 정의하여 정보상태흐름의 통제를 수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모델을 요구하고 있으나, 공통평가기준에서는 그 범위를 접근통제 및 정보흐름 정책을 포함하여 무결성, 식별및 인증 등으로 모델 가능한 정책으로 확장하여 평가보증등급에 따라 비정형, 준정형, 정형방법을 적용한 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정 책모델은 보안기능요구사항으로 구체화되는 보안정책을 일관적이고 완전하게 비정형, 준정형, 또는 정형방법으로 명세하여 보안 기능요구사항이 정확하게 정의되어 구현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어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 간 설계 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μ°"的

즉, 기능명세와 보안정책과의 정확한 대응 관계를 증명함으로써 기능명세에서 보안기능을 일관적이고 완전하게 명세 하였음을 보증 받을 수 있다. 또한, 평가자는 보안정책모델 평가를 통하여 개발자가 보안 기능요구사항 및 보안정책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보안 기능을 일관적이고 완전하게 구현하였는지 검증할 수 있다μ叫

2.1 주요 용어 정의

본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공통평가기준등4」3凹을 기초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평가대상제품(TOE, Target of Evaluation) : 평가의 대상인 IT 제품 또는 시스템으로 단일 또는 분산 구조의 제품 또는 특정목적과 운영환경을 가지는 시스템

.보안목표명세서(ST, Security Target) : 식별된 TOE 의 평가를 위한 근거로 사용되는 보안환경, 보안목적, 보안요구사항, TOE 요약명세로 구성된 문서

• TOE 보안기능(TSF: TOE Security Function) : TOE 보안정책에 기여하는 TOE의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로 구성된 집합

• 기능명세(Functional Specification) : TSF의 외부 인터페이스와 보안기능 기본적인 동작을 서술

• 기본설계(High-level Design) : TSF를 주요 구성 단위 (서브시스테로 서술하고, 구성단위와 이들이 제공하는기능 및 서브시스템간의 관계, 인터페이스를 서술

. 상세설계 Sw-level Design) : 모듈과 모듈간 관계및 종속성으로서 상세 수준의 설계를 서술

• 구현(Implementation) : 소스코드, 펌웨어, 하드웨어설계도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보안기능의 상세한 내부작업을 파악하게 함으로 분석을 지원

• 비정형 명세(Informal Specification) : 일반적인 자연어를 사용한 명세

• 준정형 명세(Semi-FormM Specification) : 제한된 그래픽한 표현 등 제약된 기호를 사용한 명세로서자료흐름도, 상태 전 이 도, 객 체 관계 도, 자료구조도, 프로세스구조도 등을 이용한 명세

• 정형 명세(Formal Specification) : 수학적 개념에 기반한 형식적 표기법을 사용한 명세로서 [Z], [VDM], [GYPSY] 등을 이용한 명세

2.2 개발과정에서의 보안정책 모델

제품의 개발과정에서 보안정책모델은 보안기능 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 일관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역할을 하여 정의한 기능요구사항의 모호함 등에서기인하는 보안기능의 구현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여개발과정의 보증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한다♦。的 아래의 [그림 1]은 개발과정에서 보안정책모델을 위치를도식화 한 것이다. 그림과 같이 보안정책모델은 위협, 가정사항, 조직의 보안정책 등 보안환경 및 보안목적 으로부터 도출한 보안기 능요구사항과 기능명 세간에 일관성과 완전성을 제공하여 제품을 오류 없이일관되게 기본설계, 상세설계, 구현으로 세분화 및구체화되 도록 한다. 공통평가기준에서 보안정책 (TSP) 은 일반적으로 보안기능요구사항 및 각 요구사항의조합으로 표현하므로 특별하게 명시하지 않고 있다.

(그림 1) TOE개발과정에서의 보안정책모델

보안정책모델은 EAL4 이상의 보증요구사항에서 요구하고 있으며 평가보증등급에 따라 비정형, 준정형, 정형 방법을 사용하여 명세하도록 요구하고 있다.的 또한, 보안정책모델이 보안정책의 제약사항, 정보흐름 등을 제시하여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의일관성 검증 및 제품의 사용자, 개발자, 평가자에게보안목적 , 보안기능요구사항, 기능동작을 명확하게하여 개발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보증 수준을 갖는 정보보호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보안정책모델을 개발과정초기부터 적용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Ⅲ.관련 연구 및 평가기준 요구사항

본 장에서는 보안정책모델관련 연구를 고찰하여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알아본다. 또한 정보시스템 보안성 평가기준의 보안정책모델 요구사항을 비교·분석한다.

3.1 관련 연구

보안정책모델에 대한 기존 연구는 접근통제, 무결성 등 일부 보안기능의 보안정책을 정형방법을 사용하여 객체, 주체, 보안특성, 보안속성 등을 정의하고 정보 상태 흐름을 통제하는 BLP, Biba, Qark-Wilson 등 보안모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아래의 [표 1] 은 주요 보안모델의 보안특성 및 특징을 비교 . 분석한 것이다.

(표 1) 보안모델간 비교 . 분석

제시한 보안모델은 일부 특정 보안정책 및 보안기능을 가지는 보안정책 모델에 한정하여 적용 가능하며, 국방분야 등 중요도가 높은 정보를 다루는 높은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특수한 환경 등에 제한되어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환경에서는 적용시 많은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며, 특히 모델에서 포함하고있지 않은 보안기능에 대한 정책 모델을 명세할 경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미국의 Orange Book(NCSC-TG010)은 TCSEC의 요구사항을 기초로 보안정책모델 관련 요구사항 설명, 접근통제 정책에 대한 모델 방법을 중심으로 보안정책을 정형방법으로 명세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지침서이다.㈣ 여기에서 주체, 객체, 연산자, 보안속성 등의 구성요소와 운영체제, 네트워크 및 분산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등 제품 특성별 적용 가능한 접근통제 및 무결성 정책에 대한 보안모델에 한정하여 명세 방법을 수학적 논리에 바탕을 두어 보안정책을 정형화 언어로서 Ina Jo를 사용한 FDM(Fomial Development Method) 및 Gypsy를 사용한 GVE(Gypsy Verification Environment) 등을 소개하여 설명하고 있어 일반환경에서 다양한 보안기능을 가지는 제품에 적용할 경우, 한계가 있다. 또한, Dennison의 보안정책모델링 방법㈣은 공통평가 기준에 의한 보안정책 모델 방법을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정형 명세 등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으며, 보안정책모델 평가에 대해서는 논하고 있지 않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공통평가방법론은 보안정책모델 평가항목을 명시하여 평가 방법을 서술하지 하고 있으나, 모델 범위 및 구체적인 평가 방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보안정책모델을 적용하여 개발 및 평가된 사례가 전무하며 관련연구도 다중등급 접근통제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안 기능을 가지는 정보시스템 제품 개발 및 평가에 실제로 적용 가능하도록 세부적으로 보안정책 모델을 명세하는 절차와 함께 보안모델정책을 평가하는구체화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2 관련 평가기준 요구사항

보안정책모델은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TCSEC, ITSEC, 공통평가기준(CC) 등 정보시스템 보안성 평가 기준의 보증요구사항에서 요구하고 있으며, 요구사항을 분석 . 비교한 내용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보안정책모델 관련 평가기준 비교 . 분석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안정책모델은 고둥급의보증요구사항에서 요구하고 있으며, 공통평가기준은 ITSEC과 TCSEC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즉, TCSEC/ 접근통제기능(DAC, MAC 등)을 중심으로, ITSECe 주요 기능에 대하여 보안정책모델을 요구하는 반면, 공통평가기준에서는 접근통제 및정보흐름정책을 중심으로 모든 보안기능에 대하여요구하고 있으며, 모델내의 내부적 일관.완전성의근거제시 및 기능명세와의 일관성 및 완전성을 요구하고 있다.

Ⅳ.보안정책 모델 절차 및 세부 평가방법

본 장에서는 공통평가기준의 보증요구사항回을 기초로 공통평가방법론(Common Criteria Evaluation Methodology, CEM), |11] Orange BookCNCSC-TG-OlO), 1101 Dennison의 보안정책모델링 방벱끼 등을 참고하여 보안정책을 모델하는 절차를 제시하고 공통평가 방법을 기반으로 보안정책모델의 세부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4.1 보안정책 모델 절차

공통평가기준은 Waterfall approach, Rapid prototyping 등 특정 개발 방법론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본논문에서 제시하는 보안정책모델 절차는 특정 개발방법론과 무관하다.

보안정책을 모델하는 첫 번째 .단계는 보안목적, 보안기능요구사항 등 보안정책 모델을 위한관련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접근통제기능, 감사기록기능, 무결성기능 등 보안기능 정의 및 구현에 필요한 정책을 분석한다. 이때 보안기능요구사항은 보안정책 모델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일관성 등을 고려하여 보완 가능하다. 두번째 단계는 평가보증등급(EAL4~EAL 7)에 따라 비정형화, 준정형화 또는 정형화 등 명세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준정형화 방법인 경우, 자료흐름도, 상태전이도 등을 사용하여 보안모델을 명세할 수 있으며, 정형방법의 경우, 기존의 보안모델 또는 정형언어를■사용한모델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세 번째 단계는, 통제 개체(주체 및 객체), 보안 특성, 연산자 등을 정의하여 보안정책(TSP)을 모델링한다. 준정형화, 정형화방법으로 명세한 경우에는 모델 명세에 참여하지 않은 개발자 또는 평가자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 비정형적인 서술을 추가적으로 명세한다. 마지막으로 보안정책모델과 기능요구사항 또는 보안정책 및 기능명세서와 일관성과 완전성을 검증하고, 검증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서술한다. [그림 2]는 보안정책모델 절차를 도식화한 것이다.

[그림 2] 보안모델 절차

4.1.1 모델 요구사항 분석

모델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는 보안정책 모델에필요한 평 가대 상제품의 보안기 능요구사항과 보안정책, 조직의 보안정책 등 관련 사항을 작성 및 준비하여 보안정책모델에 요구되는 사항을 분석한다. 관련문서로서 보안목표명세서의 보안환경, 보안목적, 기능요구사항, TOE 요약명서), 보안정책, 조직의 보안정책과 기능명세서가 있다. 보안환경 및 보안목적에서 도출된 보안기능요구사항은 보안감사(FAU), 통신(FCO), 암호지원(FCS), 사용자데이터보호(FDP), 식별 및 인증 (FIA), 프라이버시"), TSF 보호(FPT), 자원활용(FRU), TOE 접근(FTA), 안전한 경로/채널(FTP)로 분류하고보안기능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조직의 보안정책을 고려하여 보안정책을 작성한다. 이때 보안정책은 보안기능별로 세분화하고 조직의 보안정책과 모순되지않도록 한다. 하나의 보안정책은 두 개 이상의 보안기능으로도 구현가능하며 , 보안기능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명세한 TOE 요약명세 및 기능명세와 매핑하여 보안기능별 보안정책과 통제하고자하는 주체, 객처), 초기상태 . 안전한 상태 등 특성, 연산을 정의한다. 준정형, 정형방법을 적용할 경우, 보안기능요구사항 및 TOE 요약 명세를 고려하여 보안정책모델가능한 보안정책을 중심으로 모델링 함을 원칙으로한다. 또한, 기능명세에서는 보안정책 모델을 위해보안기능 외부인터페이스와 명세한 기능동작을 분석한다.

4.1.2 모델 방법 선택

보안정책모델은 보증평가등급에 따라 EA14에서는 비정형 방법, EAL5이상에서는 준정형, 정형 방법으로명세하도록 요구하고 있다.的 비정형화 방법인 경우에는 자연어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TOE 보안정책을 주체, 객체, 특성 등 통제 환경을 서술한다

비정형적으로 명세할 경우에는 일반자연어를 사용하여 기존 보안모델 또는 개발 또는 평가대상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체, 객체 등을 정의하여 보안정책을 명세한다.

준정형 방법일 경우에는 그래픽한 표현 등 제약된기호를 사용한 명세로서 자료흐름도, 상태전이도, 객체관계자료구조도 프로세스구조E, SDL 등을 사용하여 명세할 수 있다. 정형화방법으로 보안정책모델을 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모델 대상 기능에 따라 state transition, noninterference, information flow 등의 일반모델을 사용하여 명세할 수 있다. 또한 Petri-net, communicating state machine, module logic 등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모델 선택 시에는 네트워크 제품 또는 분산구조의 제품 등 TOE 특성, 모델의 단순성, 모델하고자 하는 정책 적용의 적합성, 의도하는 수준의 정형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며, 보안정책을보안기능별로 세분화하고 통제 범위를 정하여 주체, 객체, 특성, 연산을 정한다. 즉, 보안정책모델은 보안기능별로 하부모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모델이 둘 이상의 보안기능을 명세할 수 있다. 정형방법을 적용한 모델은 수학적 논리와 표기를 기초로하는 정형화 언어인 Z, '251 VDM(vienna Development Method), 1261 Ina Jo 또는 Gypsy"11 등을 사용하여 명세및 검증할 수 있으며, 정형언어의 사용은 비정형적 언어를 사용한 명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ambiguity), 불완전성(incompleteness), 모순성(contradiction)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기존 보안모델의 한계점등을 극복하여 특성을 반영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형언어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해석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4.1.3 보안정책 모델

보안정책이 작성되고 모델 명세방법이 설정되면, 보안정책 모델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보안정책 모델은 통제 개처), 보안 특성, 연산 규칙으로 구성된다. 첫째, 통제개체 정의에서는 주체(능동적 개체), 객체 (수동적 개체), 또는 개체 그룹, 개체의 속성 등 통제범위 내의 모든 상태 변화 가능한 개체를 분류하여 정의한다. 둘째, 보안특성 정의에서는 보안특성 또는 속성을 공리로서 정의하며, 항상 전제조건으로서 가정되고 유지되도록 하며, 보안정책을 시행하는 방법, 요구되는 행위를 간결하게 표현한다. 보안특성의 예로서 BLP(Bell and La Padula) 모델의 Simple Security, 知Property, discretionary가 있다. 보안정책 모델은 보안 특성과 일관되게 명세하여 내부간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셋째, 연산 규칙 정의애서는 주체와 객체 간 상태전이함수 등에 관한 규칙을 정의한다. 주체와 객체간 읽기, 쓰기, 접근, 첨부 등의 연산을 보안 특성을 고려하여 정의한다. 넷째, 연산규칙이 보안 특성을 유지함을 각 상태전이함수 등이 보안 특성을 만족함을 증명하고 초기상태가 안전함을 증명한다.

4.1.4 모델의 일관성 및 완전성 검증

이 단계에서는 보안정책모델이 보안정책 및 정의한 보안기능요구사항과 일관된다는 근거를 명시하고보안 정책과 기능인터페이스를 고려한 기능명세와의일관성 및 완전성을 각각 검증한다. 또한, 보안정책을 명세하여 모델한 범위와 부분을 명시한다. 비정형방법으로 증명할 경우, 테이블 또는 적당한 표식을사용하여 일치성을 서술할 수 있으며, 준정형 방법의경우에는 세부 개체에 대하여 좀 더 완전하고 엄격하게 매핑하여 증명한다. 정형 방법인 경우에는 수학적인 개념을 적용하여 논리적으로 증명한다. 보안정책모델과 기능명세와의 일관성은 보안정책과 일관되고 완전하게 기능이 정확하게 모델 되었다는 것을의미하여, 정의한 기능에 대한 설계 및 구현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개발과정의 보증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설계하고자하는 제품의 평가보증등급에 따라 비정형적인 방법으로 보안정책모델을 명세하는 경우에는위의 일부 절차가 생략 가능하며, 정형언어를 사용하여 명세하는 경우에는 언어 선택 및 언어 특성 등추가적인 절차가 필요하다. 그리고 준정형적 또는 정형적 방법으로 모델한 경우에도 반드시 비정형적 방법을 사용하여 명세한 보안정책모델에 대한 설명을추가하여야 한다.

4.1.5 제시한 보안모델 절차와 기존연구의 비교

본 논문에서는 공통평가기준에 의한 일반화되고 세부적인 단계별 보안정책 모델 절차를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하여 BLP, NCSC-TG-010 등 비밀성, 무결성 등 일부 보안기능을 중심으로 정형적 방법을 일반환경에서 다양한 보안기능을 가지는 제품에 적용할 경우, 적용 범위 및 환경의 한계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Dennison의 보안정책모델링 방법互에서 논하고 있는 공통평가기준에 의한 모델 방법과 비교하여 기존 보안모델을 활용하는 방법, 정형명세 관련 사항 등과 관련된 누락 사항을 추가 및 보완하여 개발자가 모델 명세시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고등급의 평가보증등급을 목표로 하는 제품 개발자는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절차를 활용하여 공통평가기준에서 요구하는 보안정책모델을 명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2 보안정책모델 평가방법

보안정책모델 명세 후에는 이에 대한 일관성과 완전성 검증을 위하여 평가과정이 요구된다. 보안정책 모델 평가관련 기존연구는 거의 없으며 다만, 공통평가방법론에서 공통평가기준의 요구사항을 기초로 평가자가 평가시 알아야 하는 주요 사항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이지 않아 이를 평가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데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통평가방법론의 평가항목"侦3, 列을 정리하고 추가적으로 보안정책모델의 단계적이고 세부적인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보안정책모델 평가의 목적은 모델이 보안정책의 규칙과 특성을 포함하여 명확하고 일관적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기능명세의 보안기능과 일관적이고 완전하게 서술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아래의 [그림 3]은 공통평가기준의 보안정책 모델평가항목을 평가를 위한 입력 요구문서와 연계하여 공통평가방법론의 평가항목을 도식한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보안정책모델(SPM) 평가는 보안목표명세서(ST), 기능명서】서, 보안정책모델(SPM), 사용자설명서, 관리자설명서가 필요하며 공통평가방법론의 세부평가항목과 입력 문서와의 관계는 [그림 3]과 같이분류할 수 있다.

(그림 3] 평가항목과 요구문서의 연관 관계

아래의 [표 3]은 공통평가방법론의 보안정책 모델평가항목을 요약하여 정리한 것이다. 서술한 평가항목에서 제시하는 내용([표 3]의 왼쪽 컬럼) 만으로는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평가항목을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단계별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표 3]의 오른쪽 컬럼의 굵은 글씨는 본 논문에서 추가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표 3) 공통평가방법론의 평가항목과 제안된 세부평가항목

본 논문에서는 보안정책모델 평가절차를 명세방법평가, 보안정책모델의 완전성 평가, 보안정책모델의일관성 평가, 기능명세와의 일관성 및 완전성 평가단계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口는 제안한 단계에상응하는 공통평가방법론의 평가항목을 표시한 것이다.

4.2.1 명세방법 평가[SPM1-1]

평가자는 개발자 또는 신청인이 제시한 보안정책 모델을 검토하여 신청 보증등급을 기초하여 비정형 [EAL4], 준정형 . 정형적[EAL5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준정형적 또는 정형적으로 모델된 경우, 비정형적으로 서술되어 있는지 평가한다. 준정형적 또는 정형적으로 명세된 경우에도 다른 개발자 및 평가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비정형적으로 명세하여야 하므로 이를 확인하여 평가한다.

4.2.2 보안정책모델의 완전성 평가[SPM1-2~3]

보안목표명 세서 에 정 의되어 보안정 책으로 서술된모든 보안기능이 보안정책 모델되었는지 확인하여 평가한다. 특히, FDP_ACC(접근통제 정책), FDP_IFC(정보흐름통제) 등 FDP(사용자데이터보호), FIA(식별 및인증), FAU(감사기록) 기능 등을 중심으로 모델되어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비정형적으로 명세한 모델의경우, 모든 보안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며, 준정형적 및정형적으로 명세한 모델의 경우에는 분산구조와 불안전한 상태의 주체 및 개체를 가지는 제품일 경우 보안정책 특성 및 현재의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예외사항을 둘 수 있다. 예외 사항을 적용한 경우에는 근거를 제공하도록 하고 근거가 타당한지 확인한다. 그리고, 보안정책모델에 주체 . 객체. 연산자. 보안속성 . 규칙 등이 세부적으로 명시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4.2.3 보안정책모델의 일관성 평가[SPM1-4~6]

보안목표명세서에 정의된 접근통제(FDP), 식별 및 인증(FIA), 보안감사(FAU) 등 보안기능이 평가대상 제품의 동작과 기능의 특성에 따라 모델된 주체, 객처】, 연산자, 규칙 등과 일관적인지 여부를 평가한다. 예로서, 임의적 접근 통제의 경우, 객체(파일시스템, 프로세스, 메모리 등), 주체(사용자를 대신한 프로세스, 관리자 등), 객체 속성(소유자, 읽기/쓰기/실행, 허용 비트 등), 주체속성 (UID, gid 등), 규칙(초기화를 위한 규칙, 주체와 객체간 보안속성변경을 위한 규칙, chmod, chown, chgrp 등)이 제품(TOE)의 동작과 기능의 특성과 일관적으로 모델되었는지 검증한다. 또한, 식별 및 인증의 경우, 사용자 생성/삭제/변경 규칙, 역할을 포함한 속성, 초기화 및 변경 규칙, 인증 규칙, 패스워드 시도 횟수 등 환경 옵션, 환경 설정 규칙 등을 고려하여 모델되었는지 검증한다. 그리고 감사기록생성 기능인 경우에는 감사대상사건, 감사생성 레코드 속성, 감사대상 환경 설정, 환경 설정 옵션, 감사데이터 접근 규칙 등이 적용되어 모델 되었는지 검증한다. 준정형적 또는 정형적으로 명세한 모델의 경우, 각 방법을 사용한 모델과 비정형방적 서술이 구체적이며 정확한지 분석을 통하여 평가한다. 보안목표명세서의 보안요구사항과 보안정책모델간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는지 점검 및 분석하고 보안정책 모델의 이론적 근거 점검 등을 통하여 모델된 모든 보안정책이 특성, 보안속성, 규칙을 포함하여 명시되어있음을 검증한다.

4.2.4 기능명세와의 일관성 및 완전성 평가(SPM1-7 ~8)

이 단계에서 평가자는 보안정책모델과 기능명세에서 서술한 보안기능 및 외부인터페이스와의 관계를분석하고 식별 및 인증, 접근통저】, 감사기록 생성, 보안기능 데이터 변경 기능 등을 중심으로 정의한 보안기능이 보안정책모델에 대응하여 모델되었음을 평가한다. 또한, 보안정책모델에 명시한 주체, 객체, 보안속성, 특성이 기능명세서에 서술한 기능동작 또는외부인터페이스와의 일관성 여부를 평가한다. 기능명세의 기능동작은 사용자 및 관리자설명서에서 구체화되므로 기능명세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 및 관리자설명서에 서술된 기능 동작과 보안정책모델간 차이점 및 모순점 여부를 분석 및 평가한다. 기능명세와보안정책모델 간 일관성검증은 기능명세에서 정의한보안기 능이 보안목표명세서의 보안정책 , 보안요구사항, TOE 요약명세를 일관적이고 완전하게 명세되었음을 의미하며, 정의하고 명세한 보안기능이 세부설계 과정을 통하여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다.

Ⅴ.결론

정보시스템의 취약점 등을 이용한 공격으로 중요정보의 유출, 전자상거래 중단 등 피해 사례가 빈번해 지고, 관련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보호제품의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제품의 보안성평가에 대한 요구가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국가기반시설 등 정보시스템으로 중요정보를 처리하는 조직에서는 고 수준의 보안성을 갖는 정보보호제품의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안정책모델은 제품의 개발과정에서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의 일관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여, 요구사항 명세의 애매함 등에서 기인하는 보안기능의구현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개발과정의 보증 수준을 높이고 요구사항에서 정의한 보안기능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통평가기준의고등급(EAL4 이상) 보증요구사항에서는 보안정책모델 명세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정책모델의 개요 및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여 공통평가기준에 의한 보안 정책 모델 절차를 제시하여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보안정책모델 절차 및 평가방법은 공통평가 기준 기반의 고등급(EAL4 이상)을 목표하는 제품개발자 및 고등급(EAL4 이상) 제품 평가실무자에게 활용 가능하다. 

향후, 제안한 보안정책 모델절차 및 평가 방법을 실제 제품에 적용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Database Security Silvana Castano(et al.)
  2. DOD 5200.28.STD Department of Defense 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 National Computer Security Center
  3.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 Criteria(V1.0) European Commission
  4. ISO/IEC15408 Common Criteri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Part3 : Security Assurance Requirements Version 2.1
  5. ISO/IEC15408 Common Criteri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Part2 : Security Functional Requirement Version2.1
  6. 정보통신망 침입탐지시스템평가기준
  7. 정보통신망 침입탐지시스템령가기준
  8. Fundamentals of Computer Security Technology Edward Amoroso
  9. Information Management & Computer Security Industrial information-weight security models V.Portougal;Lech J. J anczewski
  10. NCSC-TG-010 A Guide to Understanding Security Modeling in Trusted Systems National Computer Security Center
  11. Common Methodology for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Version 1.0) Common Criteria Editorial Board
  12. Theory of Modeling and Simulation Bernard P.Zeigler
  13. NCSC-TG-004 Glossary of Computer Security Terms National Computer Security Center
  14. COMPASS'93 On Security Policy Modelling J.W.Freeman;R.B.Neely
  15. Technical Report M74-244 v.1-2 Secure Computer Systems:mathematical foundations Bell D.E.;La Padular L.J
  16. MTR-2547 v.1-2 Secure Computer systems: mathematical foundations Bell D.E.;La Padular L.J.
  17. 정보보호시스템 공도평가기준
  18. Fundamentals of Computals Security Technology Edward Amoroso
  19. MTR-3153 Integrity Considerations for Secure Computer Systems Biba K.J.
  20. IEEE Symp. on security and Privacy A Comparison of Commercial and Military Computer Security Policies D.D.Clark;D.R.Wilson
  21. IEEE Computer Lattice-Based Access Control Models Ravi Sandhu
  22. ACITSS A Methodology for Security Policy Modeling Mark W.L. Dennison
  23. Education Material for Evaluation of SPM Kris Rogers
  24. Evaluation Procedure for ADV_ SPM Louise Huang
  25. The way of Z practical Programing with Formal Methods J.JACKY
  26. Systematic Software Development using VDM(2nd) Systematic Software Development using VDM C.B.Jhons
  27. IEEE Computer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s Ravi S.sandhu;Edward J.Coyne
  28.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 Methodology(V1.0) European Commission
  29. Terry Fletcher,Semi-Formal firewall State Machine Model Philip E.Fites
  30. IEEE TRANSACTION ON SOFTWARE ENGINERING v.21 no.2 Specification and Validation of a Security Policy Model Anthony Bos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