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Forecasting models for crosswalk pedestrian volume, which consider safety of crosswalks and good traffic operation accidents,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reduce total number of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However, the existing models did not include pedestrian volume which seemed to be very significant in the forecasting models because there were no pedestrian volume related data and no methods of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This paper presents estimating models for the total number of trips, which are produced in zone i and attracted to zone j, and a process of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in the goal year. First of all, the estimating models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around a signalized intersection and the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s factors. Secondly, the estimated crosswalk pedestrian volume was distributed to the crosswalk pedestrian volume each path in the basic year by friction factors of Gravity Model, adjustment factors for area and ratio of pedestrian volume who moved diagonally at the crosswalk. Thirdly, the estimating models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in the goal year were presented by using the distributed crosswalk pedestrian volume.

횡단보도의 안전성과 교통 소통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횡단보도 보행자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보행자사고 예측모형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기존의 예측모형에서는 횡단보도 보행자사고의 당사자에 해당하는 보행량이라는 변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보행량과 관련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고. 보행량 추정방법 역시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준년도 신호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횡단보도 보행량을 조사하여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추정된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을 중력모형의 마찰계수와 구역간 조정계수, 그리고 대각횡단 보행비율을 적용하여 횡단보도 보행경로별로 보행량을 분포시킴으로서 목표년도(보행자사고 발생 시점 또는 장래)의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 개정판 경찰청
  2. 교통량예측을 위한 교통 유발원단위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3.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시의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자 통행발생 모형정립 김보라
  4.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손규홍
  5. 교통공학 원제무;최재성
  6.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보행수요 예측모형의 정립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영인
  7.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보행량추정모형에 관한 연구 이재춘
  8. ASCE Jouran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103 no.Issue: 4 Pedestrian Volumes Estimation by Land-Use Variables Jahanbalhsh Behnam;Bharat G.Patel
  9.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68 Predicting Predicting Crosswalk Volumes Scott E.Davis;L.Ellis King;H.Douglas Robert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