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Test Tool of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Level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 서창현 (행신고등학교) ;
  • 이항로 (대전광역시 교육청) ;
  • 김희수 (공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Published : 2003.10.31

Abstract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test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spatial concept in the astronomy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items of the test tool are composed of basic elements (spatial position, spatial reasoning, spatial variation) forming spatial concepts in the astronomy. The test tool was applied to the 274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the test tool showed that the content validity was 98%, the reliability (KR 20) was 0.84, the measure the level of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하위 요소들 (공간위치, 공간추리, 공간변화)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274명의 고등학생들에게 투입되어 검증되었다. 문항 분석결과, 본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는 98%였으며, 신뢰도(K-R 20)는 0.84, 정답율 52%, 변별도 지수 0.2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본 검사도구가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할 때 활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제 7차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9)
  2. 검기정, 1997, 지구과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9 p
  3. 김주리, 1998, 초등학생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 개념 성취도의 관련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4. 김찬종, 이조옥, 1996,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지구과학학회지, 17(1), 8-21
  5. 김현재, 이철희,채규준, 1986, Piaget사고유형에 의한 4.6학년의 자연과 내용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15-33
  6. 김희수, 1993, 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수준과 탐구능력의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4(4), 424-431
  7. 김희수, 2002,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술의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3(7), 531-542
  8. 민순규, 1991, 중등학생 및 과학교사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p.
  9. 송복헌, 1991,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적 사고발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5 p
  10. 이연우, 1989,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지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51 p
  11. 이종석, 1998, 중학생들의 공간개념 획득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12. 이항노, 1991, 고등학교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88 p
  13. 임첨환, 정진우, 1991, 고교생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 탐구기능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23-30
  14. 장태환, 199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아동들의 개념조사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9
  15. 정남식, 1995, 소집단 역할놀이와 토의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1 p
  16. 진영은, 조인진, 김봉석, 200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학지사, 394 p
  17. 하옥선, 이용복, 1999, 지구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2
  18. 황정규, 1989,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50 p
  19. Bamett, M. and Blossom, R. B., 2002, Addressing Chil-dren's alternative frameworks of the Moon's phase and eclipse.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8), 859-879
  20. Doran, R. L., 1980, Basic Measuimient and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Washington D. 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3-18
  21. Ground, N. E., 1985,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5th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21 p
  22. Piaget, J and Inhedler, B., 1963,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London: Routledge and Keman paul, 3, 416 p
  23. Trundle, K. C., Atwood, R. K, and Christoper J. 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7), 633-658 https://doi.org/10.1002/tea.1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