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

Endoscopic Findings of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 이동훈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철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지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근수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흥식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진무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Dong 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Park, Chul Han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Park, Ji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Park, Geun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Kim, Heung Sik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Kang, Chin Moo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투고 : 2003.02.14
  • 심사 : 2003.04.11
  • 발행 : 2003.06.15

초록

목 적 :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을 관찰하고, 또한 위장관 증상이 있는 환아와 없는 환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 중 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실시한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장관 증상의 유무에 따른 내시경 소견을 비교 관찰하였으며 피부 병변 3일 전부터 퇴원까지의 기간 동안 복통, 구토, 위장관 출혈, 설사 등의 증상을 기록하여 위장관 증상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결 과 :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65명 중 위장관 증상이 있던 환아는 53명이었고, 증상이 없는 환아는 12명이었다. 6-10세 연령군이 많았고 위장관 증상은 남아에서 그리고 증상으로는 복통과 구토가 많았다.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65명 중 십이지장 점막에 이상 병변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병변의 양상에 따른 빈도는 십이지장염 12명, 위염과 십이지장염 9명, 십이지장미란 6명, 위염 5명, 십이지장궤양 5명, 위궤양 2명, 결장미란 1명의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소견은 25명이었다. 증상이 있던 환아 53명 중 38명에서 그리고 증상이 없던 환아 12명 중 2명에서 위장관 내시경 소견상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결 론: 위장관 증상이 있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에서는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병변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었으나 더 많은 예에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ndoscopic findings in Henoch-Schonlein purpura patie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nd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ag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Methods : We examined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aged 3 to 15 years between September 1996 and October 2002. The total number studied was 65, consisting of 41 boys and 24 girls. Endoscopy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Results : Among 65 cases, 12 cases of duodenitis, nine cases of gastritis and duodenitis, six cases of duodenal erosion, five cases of gastritis, five cases of duodenal ulcer, two cases of gastric ulcer and one case of colonic erosion were noted. Endoscopic abnormality was found in 38 of 53 who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in two of 12 who didn't have gastrointestinal symptoms. Conclusion : Most of the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Henoch-Schonlein purpura patients were relieved without complication. But in some cases severe symptoms such as hematemesis, melena, and abdominal pain localized to epigastric area were developed when diagnosis was delayed. Prompt endoscopy will be helpful for diagnosis and therapy of Henoch-Schonlein purpura with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