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rginine Vasopressin(AVP) Infusion on the Patients with Catecholamine-dependent Septic Shock

카테콜아민계 승압제를 투여중인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VP)의 효과

  • Sheen, Seung Soo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im, Seung Guan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o, Sook Kyoung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ong, Kyoung Eun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Hyoung No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Oh, Yoon Jung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Kwang Joo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wang, Sung Chul (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신승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임승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조숙경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송경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이형노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오윤정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박광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 황성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1.30

Abstract

Background : A decreased level of serum arginine vasopressin(AVP) and an increased sensitivity to an exogenous AVP is expected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who often require a high infusion rate of catecholamines.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n exogenous AVP infusion to the patients with septic shock would achieve a significant decrement in infusion rate of catecholamine vasopressors while maintaining hemodynamic stability and adequate urine output. Method : Eight patients with septic shock who require a high infusion rate of norepinephrine had received a trial of 4-hour AVP infusion with simultaneous titration of norepinephrine. Hemodynamic parameters and urine output were monitored during the AVP infusion and the monitoring continued up to 4 hours after the AVP infusion had stopped. Results : Mean arterial pressur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study period(p=0.197). Norepinephrine infusion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concurrent AVP administration(p=0.001). However, beneficial effects had disappeared after the AVP infusion was stopped. In addition, hourly urine outpu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throughout the trials(p=0.093). Conclusion : Concurrent AVP infusion achieved the catecholamine vasopressor sparing effect in the septic shock patients, but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improvement of renal function. Further study may be indicated to determine whether AVP infusion would provide an organ-protective effect to the septic shock patients.

연구배경 : 패혈성 쇼크에서는 혈압이 저하됨에도 불구하고 혈중 AVP의 농도가 낮은데, 그 이유는 미생물에서 유리된 독소에 따른 염증반응을 매개로 증가한 산화질소(NO)가 혈관을 확장시켜 이차적으로 AVP의 고갈을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패혈성 쇼크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노르에피네프린과 카테콜아민계 승압제는 다량 사용시 내부 장기의 혈류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페혈성 쇼크 환자에게 AVP를 정주함으로써 승압제의 감량과 신기능의 향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 혈압의 유지를 위해 다량의 승압제를 투여중인 여덟 명의 패혈성 쇼크 환자들을 대상으로 AVP를 4시간 동안 정주하였다. 투여전, 투여중 및 투여 종료 4시간 경과후 시점을 기준으로 평균 동맥압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투여속도,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 AVP의 정주 결과, 세 측정 시점 사이에서 평균 동맥압의 유의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은 채로(p=0.197) 노르에피네프린의 투여속도(${\mu}g/min$)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p=0.001). 그러나, 시간당 소변량은 측정 시점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93). 결 론 :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AVP를 정주한 결과, 카테콜아민계 승압제의 투여속도를 유의하게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단시간 AVP 정주에 따른 시간당 소변량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향후 AVP 투여가 주요 장기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