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볏짚재를 혼입한 다공성콘크리트 블록의 식생을 위한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for Planting of Porous Concrete Block Containing Rice Straw Ash

  • Sung Chan-Yong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Ik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06.01

초록

농업부산물인 볏짚재를 혼입한 다공성콘크리트 블록의 공학적 특성과 다공성 블록내 식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공극률과 중성화 처리 시점 및 양생방법에 따른 다공성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pH 등을 측정하였고, 개발된 다공성 블록내 잔디, 참싸리, 비수리를 파종하여 식생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볏짚재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극률은 감소하였고, 강도는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재령 6일에 중성화 처리를 한 경우 의 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pH는 기건양생보다는 수중 생한 경우 저감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수중양생과 중성화 처리를 병행할 경우 중성화처리 시점에 관계없이 높은 pH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다공성 블록에 잔디, 참싸리, 비수리를 식생한 결과 잔디의 성장속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참싸리와 비수리는 초기성장속도는 늦었으나, 장기적으로 성장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토양에서와 비슷한 성장길이를 나타내어 블록내 식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멘트의 일부로 볏짚재를 혼입한 다공성 콘크리트불록을 개발하였으며, 다공성 블록내 식생이 가능하여 식생블록에 대한 현장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engineering properties for planting of porous concrete block containing rice straw ash. Tests for void ratio,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pH by neutralization treatment time and curing method were peformed. As results, the void ratio tends to decrease with increasing rice straw ash content. But,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tends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ice straw ash content. When the neutralization was treated at the curing age 6 days, the greatest strength was showed. The pH of porous concrete without neutralization treatment in dry and water curing are shown in 10.32 ${\~}$ 10.55 and 9.41${\~}$9.59, respectively. The pH of porous concrete by neutralization treatment in dry and water curing were shown in 9.74${\~}$10.10 and 8.13${\~}$9.32, respectively. The porous concrete block size was 23 ${\times}$ 23 ${\times}$ 4 cm, and species of planting were Tall fescue, Lespedeza cyrtobotrya and Lespedeza cuneata. At the 6 months after seeding, germination ratio and grown-up length of Tall fescue, Lespedeza cyrtobotrya and Lespedeza cuneata were shown in 90, 60, $50\%$, and 40${\~}$50, 90${\~}$110, 65${\~}$75 cm, respectively. These porous concrete block containing rice straw ash could be used for plan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승한, 김은겸, '환경친화콘크리트의 현황,' 콘크리트학회지, 12권 5호, 2000, pp.17-22
  2. Brandt, A. M., 'Cement-Based Composites:Materials, Mechanic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E & FN Spon, 1995, pp.66
  3. 김진춘, 김기수, 최광일, 오희갑, '다공성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과 녹화실험',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8권 1호, 1996, pp.153-159
  4. Japan Concrete Institute, 'Eco-concrete Research Committee,' JCI, 1995, pp.5-30
  5. 성찬용, 김영익, '볏짚재 콘크리트의 물리 . 역학적 특성,' 한국농공학회지, 40권 4호,1998, pp.103-108
  6. 성찬용, 김영익, '볏짚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41권 3호, 1999, pp.66-72
  7. Neville, A. M., 'Properties of Concrete,' 4rd Ed., Longman Malaysia, London, 2001, pp.711~713
  8. Georgescu, Maria and Badanoiu, Alina., 'Hydration Process in CaO.$SiO_{2}$-Silica Fume Mixtures, 'Cement & Concrete Composites, Vo1.19, No.4, 1997, pp.295-300 https://doi.org/10.1016/S0958-9465(97)00021-8

피인용 문헌

  1. Vegetation and Water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Lapilli-Bio Block vol.58, pp.6,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6.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