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DENTIGEROUS CYSTS ACCORDING TO INVOLVED AREA

함치성 낭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

  • Park, Seung-Yo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Dong-W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성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동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riminat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among the three groups of dentigerous cysts studied. First, Group I, involved area of dentigerous cyst was successive permanent tooth area beneath deciduous tooth. Second, Group II, involved permanent molar area, and the last, Group III involved maxillary anterior supernumerary tooth area. The author observed and compared the clinico-radiographic features of 49 cases of Group I, 36 cases of Group II, and 15 cases of Group III of dentigerous cyst and this observation and comparison had been done by based on the charts and panoramic film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ses of Group I were 29 cases and, those of Group II were 36 and those of Group III were 15. 2. The incidence of dentigerous cyst is high in first decade. In Group I, before first decade and early first decade was 87.8%, in Group II and Group III, was discovered more lately. 3. The frequency of dentigerous cyst is 2.5 time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4. The sequence of chief complaint was swelling(50%), routine examination(32%), and pain(9%). 5. When considering the type of the cyst, lateral type is many most in Group I (71.4%) and central type is many most in Group II (94.4%) and Group III (100%). 6. The most size of dentigerous cyst was 2 crown size in Group I, 1 crown size in Group II, above of 4 crown size in Group III. 7. Almost involved teeth showed displacement and some tooth of displaced teeth showed delayed root development and dilaceration of root. 8. The most many response of alveolar bone was buccal bone expansion in Group I (67.3%), no bone expansion in Group II(66.7%) and palatal bone expansion in Group III (60.0%). 9. The percentage of involved teeth were as follows : The mandibular third molar was 31% and many most.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was 30%. Mesiodens of maxillary anterior area was 15%. The maxillary canine was 8%.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was 5%. 10. In the Group I, causes suggesting of dentigeous cyst are pulpotomized deciduous tooth(59.2%), severe dental caries of deciduous tooth, untreated traumatic history on the deciduous tooth etc. 11. The treatment method of dentigerous was marsupialization in 61.2% of cases of Group I and that was enucleation in 61.1% of cases of Group II and in 80.0% of cases of Group III.

이 연구의 목적은 함치성 낭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I, II, III군으로 나누었으며 첫 번째 I군은 함치성 낭에 이환된 부위가 유치 하방의 계승 영구치인 군이며, II군는 이환부위가 영구 대구치 부위인 군이며, III군은 이환부위가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인 경우로 나누었다. 저자는 I군의 49증례와 II군의 36증례, III군의 15증례들에 대하여 이들의 병록지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기초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치 하방의 영구 계승치를 포함하는 I 군이 49증례로 가장 많았고, II군과 III군이 각각 36증례, 15증례였다. 2. 함치성 낭은 전체적으로 10대에 가장 호발하였으며, 계승치군인 I군에서는 10대 이전과 초반에 87.8%, 대구치 군과 과잉치 군인 II군과 III군에서는 이보다 늦은 시기에 호발하였다. 3.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4. 환자의 내원 동기는 종창이 50%로 가장 많았고, 정기 검진 (32%), 동통(9%) 순이었다. 5. 낭의 유형은 I군에서 lateral type이 71.4%로 많았고, II군과 III군에서는 central type이 각각 94.4%, 100%로 많았다. 6. 병소의 크기는 I군에서는 2치관 크기가 II군에서는 1치관 크기가, III군에서는 4치관 크기 이상이 많았다. 7. 이환된 치아의 대부분은 변위를 보였고 변위된 치아의 일부에서 치근 발육이 지연되거나 치근 만곡 경 향을 보였다. 8. 낭의 성장에 의한 치조골 반응은 I군에서는 협측골 팽창(67.3%)이 많았고, II군에서는 골팽창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66.7%)가 많았으며, III군에서는 구개측 골팽창(60.0%)이 많았다. 9. 낭에 포함되는 치아로는 하악 제 3대구치가 31%로 가장 많았고 하악 제 2소구치 (30%), 상악 전치부 과잉치 (15%),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