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매체 성메세지와 청소년의 성반응 - 성태도와 성행동을 중심으로 -

Sexual Messages in the Media and Sexual Reactions of Adolescents -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

  • 발행 : 2004.03.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ual messages in the media on adolescent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88 high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xual messages in the media influenced-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ex. The more exposure to sexual messages adolescents had more liberal and permissive attitude toward sex. Secondly, sexual messages in the media also effected adolescents' behaviors toward sex, as well. The less sexual messages that they were exposed to, they displayed less sexual relations and behavior.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exual materials in mass media, variety of sexual messages, and types of schoo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The research suggested that sexual messages in the media definitely had an effect on adolescent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Therefore, it should be encouraged to take advantage of the television V chip and screening software for computers to reduce inappropriate access for adolesc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도청소년종합상담실(1997), 강원도 청소년 성 . 의식 조사연구. 강원도청소년종합상담실, 29-80
  2. 김규원(1997). 대중매체와 전자매체에 의한 성의 상품화. 아산사회복지재단 제 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3. 김병석, 이명우, 조은경(1998). PC통신 상담에 대한설문조사. 청소년대화의 광장 제 19회 청소년문제토론광장 자료집
  4. 김영희, 김운주, 박경옥, 이희숙, 김창기(2000). 저소득층 가정 청소년의 일탈행동 예방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49-169.
  5. 김옥순( 1998 ). 미디어와 청소년의 성문화. 21C 여성 미디어 운동센터 발족기념식 및 발족기념토론회 자료. 한국성폭력상담소, 17-26.
  6. 김준호, 박해광(1994). 음란물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7. 김혜숙(1998). 성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8. 문화방송(1991). 91 MBC 청소년백서
  9. 박경식(1987). TV . 영화의 성적 내용물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익(1998). 사이버세계와 청소년 상담. 청소년대화의 광장 제 19회 청소년문제토론광장자료집
  11. 성윤숙(1998). PC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음란영상물에 대한 청소년의 접촉 및 규제실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남옥(1992). 고교생의 성지식 정도와 태도 및 성교육 요구시기에 대한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영희(1995). 대중매체와 청소년비행의 상관성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창선(1997). 97 춘천시내 남녀 고등학생의 성실태. 강원도청소년상담실. 51-52
  15. 오경자(1992).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청소년지도자 연수교재I. 한국청소년연맹, 35-43.
  16. 윤가현(1998). 성문화와 심리 서울: 학지사
  17. 윤진(1991). 대중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윤진, 박윤장(1995). 음란 출판물이 청소년의 성행동 및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19. 윤혜미(1999). 청소년 임신 . 출산의 경향과 사회적 대책. 한국아동복지학회, 8, 163-164
  20. 이상회(1985). 매스커뮤니케이션과 사회화. 서울: 평민사
  21. 이상문(1995). 청소년의 성적허용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수미(1997). 영상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재창 (1986). 청소년 행동성향에 관한 연구. 대한교육연합회
  24. 이한우(1990). 청소년의 음란매체 경험과 성적충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현규(1996). 영상매체가 청소년 성행동에 미치는 실태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일간스포츠(2000). 11월 28 일자
  27. 임승원 역(1994). 대인관계의 심리학. 서울: 전파과학
  28. 중앙일보(1994)
  29. 중앙일보 (1998a). 5월 14일자
  30. 중앙일보 (1998b). 9월 26 일자
  31. 중앙일보(2000). 5월 4일자
  32.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1993). 청소년문화활동의 활성화 방안. 1993문화정책 심포지엄
  33. Abramson, P., & Hayashi, H. (1982). Cross-cultur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N. Malamnuth & E. Donnerstein(Eds.), Pamography and sexual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34. Berkowitz, L. (1984). Some effects of thoughts on anti-and prosocal influences of media events: A cognitive-neoassociationist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95, 410-427 https://doi.org/10.1037/0033-2909.95.3.410
  35. Donnerstein, E., & Berkowitz, L. (1981). Victimreactions in aggressive erotic films as a factor in viol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 Psychology, 41, 710-724 https://doi.org/10.1037/0022-3514.41.4.710
  36. Gerbner, G., & Gross, J. (1976). The scary of televising's heavy viewer. Psychology Today, 9, 41-89
  37. Gruber, E., & Grube, J.W. (2000). Adolescent sexuality and the media: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implications. West Journal of Medicine, 172, 210-214 https://doi.org/10.1136/ewjm.172.3.210
  38. Larson, R. (1995). Secrets in the bedroom: Adolescent' private use of media. JournaI of Youth and Adolescence,24(5), 535-550. https://doi.org/10.1007/BF01537055
  39. Malamuth, N., & Donnerstein, E. (1982). The effects of aggressive - pornographic mass media stimuli,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5 (pp. 103-136). New York: Academic press
  40. Myers, D. G. (1995). Psychology(4th ed.) New York: Worth Publishers
  41. Raviv, A. (1996). Adolescent idolization of pop singers: Causes, expression, and relia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5, 631-650 https://doi.org/10.1007/BF01537358
  42. Russell, D. (1984). Sexual exploitation : Rape, child sexual abuse, and workplace harassment.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43. Sternberg, R. (1986).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ical Review, 93, 119-135 https://doi.org/10.1037/0033-295X.93.2.119
  44. Strasburger, V.C. (1996). Adolescent and the media: Medical and psychological impact. In A.E.Kazdin, (Ed.), Developmental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iatry series, London New Deli: Sage Publications
  45. Worthley, R. (1983). Erotic movies. New York: Crescent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