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DMA 시스템에서 단말 측정에 의한 압축 모드 방법

UE Measurement Based Compressed Mode in WCDMA

  • 김선명 (아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장원학 (KIF 연구개발원 차세대연구) ;
  • 조영종 (아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 ;
  • 임재성 (아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발행 : 2004.07.01

초록

WCDMA 시스템에서는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시스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압축 모드(Compressed Mode)를 사용한다. 압축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처리 이득(Processing Gain)이 낮아지기 때문에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단말이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송 전력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압축 모드의 전송 간격(Transmission Gap) 동안에는 내부 회로 전력 제어가 동작하지 않고 인터리빙(Interleaving)의 영향도 줄어들기 때문에 단말은 더 높은 Eb/No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성능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압축 모드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서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시스템의 신호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3GPP는 압축 모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서 압축 모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셀과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 셀과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접 셀로 구성된 셀 환경에서 압축 모드가WCDMA 순방향 링크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수식적으로 분석하고 압축 모드 사용에 따른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압축 모드가 필요하지 않은 단말의 압축모드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단말 측정에 의한 압축 모드 방법을 제안한다. 수치적 분석 결과, 압축 모드를 사용할 때의 성능은 압축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성능에 비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압축 모드 사용에 따른 성능 감소를 크게 줄임을 확인하였다.

The compressed mode is used to perform inter-frequency and inter-system handover in WCDMA. The instantaneous transmit power is increased in the compressed frame in order to keep the QoS(Quality of Service) unaffected by the reduced processing gain. Furthermore, since the inner loop power control is not active during the transmission gap and the effect of interleaving is decreased, a higher Eb/No target is required, which directly affects the system performance. Due to the impact on performance, the compressed mode should be activated by the RNC(Radio Network Controller) only when there is real need to execute an inter-frequency or inter-system handover. However, 3GPP does not define the method that decides the compressed mode activation. In order to reduce performance degradation, there is need the decision method. In this paper, we consider a combined cell structure in which some neighbor cells have a frequency the same as serving cell and the others have a different frequency or system. Under consideration,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compressed mode on the WCDMA forward link performance. In order to avoid performance degradation, we propose an UE(User Equipment) measurement method that can restrict the activation area of the compressed mode of UE that does not need it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by simulations.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the compressed mode affect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method leads to better perform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3GPP TS 25.212 V3.11.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FDD) 3GPP
  2. 3GPP TS 25. 331 V3.12.0 Radio Resource Control (RRC) 3GPP
  3. JCCI 2000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pressed Mode in WCDMA/FDD Jayong Koo;Seungchan Bang;Youngnam Han
  4. IEICE Trans. Comm. v.E85-B no.7 Forward Link Performance of Combined Soft and Hard Handoff in Multimedia CDMA Systems S. W. Kim;D. G. Jeong;W. S. Jeon;C. H. Choi
  5. Proc. IEEE ICCT 2003 Performance Analysis of Voice Message Service in CDMA Cellular Systems S. Liu;Z. Niu;D. Huang
  6.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v.50 no.3 Forward- Link Capacity of a DS/CDMA System with Mixed Multirate Sources W. Choi;J. Y. Kim https://doi.org/10.1109/25.933309
  7. IEICE Trans. Comm. v.E84-B no.8 Capacity Estimation of Forward Link in CDMA Systems Supporting High Data-Rate Service S. S. Choi;D. H. Cho
  8. 3GPP TR 25.942 V3.3.0 RF System Scenarios 3GPP
  9. J.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1 no.1 Solution for minimum required forward link channel powers in CDMA cellular and PCS systems J. S. Lee;L. E. Miller https://doi.org/10.1109/JCN.1999.6596697
  10. IEEE VTC 2002 spring Comparison Between the Periodic and Event-Triggered Compressed Mode W. Ying;S. Dan;Z. Ping;W. Hai
  11. IEEE INFOCOM 2001 Capacity Evaluation for CDMA Cellular Systems G. Karmani;K. N. Sivarajan
  12. 3GPP TS 25.214 V3.5.0 Physical layer procedures (FDD) 3G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