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교차로 용량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간략적 분석방법(4갈래 교차로 비포화 상태를 대상으로)

A Simplified Analytical Method for th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 홍순진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4.08.31

초록

우리나라 HCM의 운영분석 과정은 많은 입력변수와 복잡한 계산절차가 요구되는 미시적인 신호교차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4갈래 교차로 비포화 상태를 대상으로 하며, 운영분석 과정상의 교통량보정, 좌회전 및 우회전 직진환산계수 산정에 포함되는 여러 변수들 중에서 중요성이 적다고 판단되는 변수들을 통합하거나 일반화된 값을 사용함으로서 계산절차의 간략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또한 차로군 분류도 현장측정을 기초로 방향별 이동류의 교통량비로서 간략하게 분류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는 해당 각 변수에 대해서 현장측정치의 최소, 최대범위에서 일반화된 값 사용시에 KHCM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차로군 분류에 관해서는 방향별 교통량을 변화시키면서 KHCM과 간략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종합평가에서는 교통량, 좌회전, 우회전 노면마찰의 최소, 최대조건을 조합하여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각각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현장에서 관측된 도로 및 교통조건에서 해당 변수의 민감도는 물론이고, 본 연구의 차로군 분류 및 종합평가의 지체차이가 오차 범위내에 있었다.

The KHCM procedure is a micro level analysi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requiring a lot of input variables and complex computations.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implifying the analysis procedures by using the generalized or the combined variables that less influence on the adjusted traffic volume and through-car equivalents of left or right turns. It was also tried to make lane grouping into directional flow ratio(v/s) based on a field surveys.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each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KHCM analysis procedures in terms of control delay. The lane grouping and the synthetical influence of a simplified method was evaluated with the scenario built in prevailing maximum and minimum conditions.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rol delay was not significantly sensitive to the selected variables and the lane grouping and their synthetical influence as wel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녕.김경환(2003), '차로폭에 따른 우회전 공용차로의 통과교통량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31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17-31
  2. 대한교통학회(2001), '도로용량편람', 건설교통부 제정
  3. 도철옹(2000), 'USHCM 신호교차로 분석과정상위 문제점 및 세로운 기법 제안', 교통연구논집, 도로교통안전협회
  4. 오영태, 김기형(2001).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 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21-28
  5. TRB(2000), 'Highway Capacity Manual', Transportaion Research Borad. Special Report 209. Washington D.C
  6. Wayne K. Kittelson and Roger P. Roess (2001), 'Highway Capacity Analysis After Highway Capacity Manual 2000,Transportaion Research Record 177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