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작성 기초 연구 - 횡단구성을 중심으로 -

An Introductory Study for Developing the Urban Street Design Manual

  • 김응철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오주택 (교통개발연구원) ;
  • 강진구 (한국토지공사 신도시사업1처) ;
  • 최연숙 (인천광역시 교통연수원)
  • 발행 : 2004.08.31

초록

우리 나라의 도시화율은 2003년 현재 90%에 다다르고 있으며, 도로이용자의 요구사항은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어, 도시부의 다양한 도로종류 및 기능별 설계기준을 제시하고, 이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ulcorner$도시부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lrcorner$ 작성이 시급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진국의 사례와 국내의 여건을 고려한 $\ulcorner$도시부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lrcorner$ 작성방향을 횡단면 설계를 중심으로 정립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시부 도로 설계지침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설계 요소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도로설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횡단면(cross-section)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독일 등 도로분야 선진국들이 갖고 있는 기준을 국내의 설계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횡단면 설계기준의 기준안 작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진국의 경우, 기본적으로 다양한 횡단면 설계가 가능하도록 설계 지침서가 제공되고 있으며, 각 설계 요소별로 최소치, 중간치, 최대치 등을 제공하는 등 설계자가 도시특성에 맞게 도로를 설계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부 도로설계시 준용되고 있는 법규 및 기준서는 다양한 도시부 도로의 설계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부족하고 경직된 구조임이 파악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ulcorner$도시부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lrcorner$은 각계 전문가 및 이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감안할 때 어떤 형식으로든 제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및 그 해설집이 지역간 연결도로(지방부 도로)에 대한 최소치 기준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용자의 다양성과 각 도시의 특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에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진단되기 때문이다.

Urbanization of Korea reaches up to 90% in the year 2003. What that means is that 90% of population live in the city areas. This phenomenon emphasizes importances of urban streets where people feel accessibility and level of environmental amenity, enjoy recreational activity, and live for a life. However, the current Korean manual for designing road is not enough to accomodate various activities of urban streets since its target is basically rural road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a new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via analyzing the practices of the development countries, and aims to recommend what should be prepared and how those are defined for developing a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in Korea. It is inevitable that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be based on the flexibility and diversity. The manual should be made through consensus among the related stakeholders such as designers, residents and officials. And it also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It is somehow true that without the manual, designing of urban streets can be done although it is not fully acceptable.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ecessity of the manual can be ignored. Rather, we should remember that the related stakeholders may not want to reveal what are hidden in developing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What are hidden is that developing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is difficult problem to solve. It is a wish that this study triggers the on-going research and interests on developing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88), '도시계획도로의 계획 및 설계기준 제I권, 제 II권'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설계편람'
  3.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4. 건설교통부(2002), '공공교통시설개발사업에 관한 투자 평가지침'
  5. 경찰청(2003), '교통사고통계'
  6.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1998). '도시계획론'. 보성각
  7. 도철웅. '교통공학원론', 청문각, 1997
  8. 박창수. 권용석(2002), '도시교통공학론', 도서출판 꾸벅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지구도로설계.운영지침에 관한 연구'
  10. 한국도로교통협회(2001), '도로설계기준'
  11. AASHTO(2001), A Policy on Genmetric Desing of Highways and Streets
  12. BAST(독일 연방도로교통 연구소)(1992), RAS(도로설계시방서)
  13. 일본건설성(1983), '도로구조령'
  14. 법개처(http://www.moleg.go.kr)
  15. 건설교통부(http://www.moct.go.kr)
  16. 미국 도서부 도로 심포지엄(http://gulliver.trb.org/conferences/uss2)